현직 지방자치단체장이 "직(職)을 걸고 막겠다"며 강하게 반대한〈본지 10월 12일 자 A14면〉 낙동강 상류 3개 보(洑)의 개방이 일단 보류됐다.

환경부는 "낙동강 상주보, 낙단보, 구미보 등의 개방은 지방자치단체, 주민과 추가 협의 과정을 거친 후 다시 추진하겠다"고 15일 밝혔다. 앞서 황천모 경북 상주시장은 정부의 보 개방 방침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바리케이드 설치 등 물리력을 동원해서라도 막겠다"고 했다.

정부는 3개 보를 15일부터 잇따라 개방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역사회에서 수위 저하에 따른 지하수 이용의 어려움 등 문제를 제기하면서 개방 계획이 수정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역 주민들과 보 개방의 필요성, 우려 사항 해소 방안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당초 일정을 조정하기로 했다"며 "제기된 우려에 대해 분야별 개방 대책을 지역 사회와 재점검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낙동강 상류 보에 대해 대체 우물 개발, 안전조치 예산 확보, 어업 손실 지원 방안 등을 세밀하게 검토할 방침이다.

상주시는 정부의 개방 보류 방침을 환영하는 입장이다. "시장직을 걸고 막겠다"고 했던 황 시장은 이날 "정부의 보 개방 보류가 임시방편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가둔 물이 썩고 문제가 생긴다면 주민들이 먼저 수문을 열어 달라고 애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4대강 사업으로 홍수·가뭄 피해가 줄고, 물 공급은 늘어나는 등 치수(治水)와 용수 기능이 강화된 점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주민들은 "용수 공급이나 생태계 영향, 수질 문제를 면밀히 알아보지 않고 일단 열고 보겠다는 정부의 방침이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3월 임시로 보를 열었던 상주시는 곧바로 후유증을 겪었다. 농사지을 물이 부족해지면서 곳곳에서 취수·양수장 가동이 중단됐다. 또 사벌면 매호취수장은 취수량 부족으로 수돗물 공급에 차질을 빚었다. 지하수 수위가 떨어져 비닐하우스용 관정(우물)에서 흙탕물이 나오는 피해를 봤다. 매호취수장의 경우 취수 방식 변경에 745억원, 양수장 추가에 386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