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5일 예정된 노벨평화상 수상자 발표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문재인 대통령의 수상 가능성이 유력해지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4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한반도 외교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등 한반도 외교 당사자들이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는 것이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로니 에지 한국외대 조교수는 문 대통령이 일전에 ‘트럼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수상해야 한다’고 한 것을 언급하며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수상을 도와 그가 한반도 문제에 협력하도록 만든다면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이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
그는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고자 하는 트럼프의 욕망을 이용하는 것이 문 대통령 외교술의 핵심일 수 있다"며 "(그렇다면) 문 대통령은 그것이 자신의 정치적 업적과 한국 국민들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것을 알 정도로 명석한 인물일 것"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 4월 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이후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던 중 "노벨 평화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타고, 우리는 평화만 가져오면 된다"고 말했다. 200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김대중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가 "노벨평화상을 타시라"고 전해온 축전에 이 같이 대답한 것이었다.
세 정상이 노벨평화상을 공동수상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세 정상이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더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도록 장려하기 위해서다. 류용욱 연세대 국제정치학 교수는 "노벨평화상이 (트럼프와 김정은의) 손을 하나로 묶어주고, 평화의 길로 함께 걸어갈 수 있도록 결속시킬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SCMP는 한국 국민들이 노벨평화상 수상에 대체로 회의적이라고 소개했다. SCMP는 "한국 대통령이 2000년에 노벨평화상을 받았지만 평화는 여전히 이뤄지지 않았고, 이후 북한은 더 강력한 무기를 개발했다"며 "한국 국민들은 노벨평화상이 실질적 평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한 의심으로 인해 노벨평화상에 대해 심드렁한 모습이다"라고 지적했다.
세 정상에게 노벨평화상을 수여한 후 평화가 깨질 경우 노벨상위원회가 떠안아야할 부담도 크지 않다. 미얀마의 실권자인 아웅산 수지 국가자문역이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후 소수 민족의 인권을 보호하지 못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류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상을 받은 후 다시 핵 위협전을 펼칠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했다.
SCMP는 최근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는 스웨덴 한림원에서 불거진 성폭력 논란 등의 문제로 노벨상 위원회는 보다 신중하게 수상자를 결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한림원 종신위원이었던 사진작가 장 클로드 아르노(72)가 성폭행 혐의로 기소되면서 지난 5월 종신위원 6명이 집단 사퇴하고, 노벨상 수상을 내년으로 연기하는 등의 사태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