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의 총아(寵兒), 배달 앱 전성시대다. 연간 15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이 시장이 해마다 성장을 거듭하면서 배달 대행업체들도 우후죽순으로 등장하고 있다. 주요 배달 대행업체들에 등록된 기사 숫자만 해도 6만명에 육박한다. 그런데 주택가 깊숙이 침투한 일부 업체가 주민들의 원성을 사는 일이 최근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서울 마포구에 거주 중인 이모(30)씨는 요즘 '잠 못 이루는 밤'을 보내고 있다. 몇달 전 이씨가 살고 있는 주상 복합 건물의 1층에 배달 대행업체가 들어서고 나서부터다. 이곳의 영업시간은 오전 10시쯤 시작해 다음 날 새벽 3시까지 계속된다. "야식 배달 등으로 밤늦은 시간까지 오가는 오토바이 소리에 밤잠을 설치는 일이 허다하다"고 했다. 이씨는 "주민들이 구청과 경찰에 민원도 넣어보지만 소용이 없다"며 "심각하게 이사를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대다수 업무가 앱으로 이뤄지는 탓에 업체들은 '최소한의 사무실'만을 유지하려 한다. 월세가 저렴하다는 이유로 대로변의 상가가 아닌 주택가 곳곳에 입주해 있다. 새벽 늦은 시간까지 영업을 해 소음을 일으키고, 좁은 골목에 오토바이를 여러 대 세워 주민의 통행에 지장을 준다. 빌라와 다세대주택이 밀집한 서울 동대문구 장안동 일대에도 배달 대행업체가 5곳 정도 들어섰다. 모두 주택가 건물 1층이다. 주민 김명숙(58)씨는 "조용하기만 했던 동네가 망가졌다. 배달이 없을 때에도 20대 초반의 젊은 배달 기사들이 삼삼오오 모여 담배를 피우고, 웃고 떠드는 소리가 밤새 끊이지 않는다"고 했다.

배달 대행업체는 앱을 통해 들어온 주문을 '라이더(배달 기사)'에 배정하고, 건당 2000~3000원 정도를 인센티브로 지급한다. 특정 시간(40분) 내에 배달을 해야 한다는 조건도 붙인다. 실적에 따라 월 300만원 이상도 벌어갈 수 있다고 한다. 더 많은 수입을 위해 기사들이 '곡예 운전'을 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 일부 중소 배달 대행업체들의 경우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측면도 있다. 배달 대행업은 설립과 허가 기준이 따로 없다. 대부분의 기사가 자신의 원동기를 가지고 '개인 사업자'처럼 영업하니 소속감이나 따라야 할 규정 등이 전무하다. 일부 기사가 머플러를 개조해 '굉음'을 일으키는 주범이 되지만 이를 제재할 별다른 수단도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