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6일(현지 시각) 북한의 장마당(시장) 숫자가 10년 새 두 배로 늘어났고, 북한의 사(私)금융업자인 '돈주'가 북한 경제 부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는 이날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공개한 '시장들: 북한의 민간 경제와 자본주의?'란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대규모 기아 사태를 겪었던 '고난의 행군' 당시엔 북한에 시장이 하나도 없었지만, 현재는 장마당 436곳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10년 전보다 2배로 늘어난 수치라고 WSJ는 전했다. 보고서는 북한이 시장 거래에 일종의 세금을 매기고 있고, 징세 규모가 연간 5680만달러(약 627억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함경북도 청진에는 축구장 3곳 정도 넓이(약 2만4000㎡)의 장마당도 존재하며 이 장마당에서만 연간 85만달러(약 9억4700만원)의 세금이 나온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는 북한 장마당을 주 무대로 활동하면서 돈을 융통하는 '돈주'에 주목했다. 돈주는 한국의 사채업자와 비슷하지만 제도권 금융시장이 없는 북한에서는 민간 금융기관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돈주들은 국영기업과 연관된 사업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각종 정부의 개발 사업에도 돈을 대고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