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동부 장시(江西)성이 시신 매장(埋葬) 금지 정책을 시행하면서 관을 부수거나 압류해 논란이 일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1일 보도했다. 장시성은 6개월 전부터 매장을 금지하고 화장(火葬)만 허용하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보도에 따르면, 장시성 당국은 매장 금지 정책 시행 후 지역 주민의 집을 돌며 관을 수거하고 있다. 최근 중국 소셜미디어에는 공무원이 주민 집에서 관을 압수해 부수는 사진과 영상이 다수 올라왔다. 일부는 관을 뺏기지 않기 위해 관 속에 들어가 눕기도 했다.

장시성은 토지를 보존하고 허례허식투성이인 장례 문화를 없앨 것이란 이유로 화장만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장시성에서는 관 소유나 제작이 금지됐다. 지난달 중국 포털 더 페이퍼는 장시성 가오안시의 24개 마을에서만 주민들이 5800개 이상의 관을 자발적으로 반납했다고 보도했다. 일부 주민은 보상으로 관 하나당 2000위안(약 32만원)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장시성이 지역 주민들로부터 수거한 관들이 쌓여 있다.

그러나 관 수거 과정에서 상당수 주민의 반발이 커 당국과 주민간 마찰이 빈번하게 빚어지고 있다. 중국 시골에선 관을 집에 보관하는 것이 오랜 풍습이다. 특히 목수에게 맞춤 제작한 관을 집에 보관하면 장수와 재물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이 때문에 형편이 좋지 않은 집도 평생 돈을 모아 관을 산다. 관을 맞춤 제작하려면 대개 5000위안이 든다. 지방정부가 주는 보상금 2000위안은 이들에게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지역 주민의 반발이 커지면서 중국 정부 입장을 대변하는 관영 매체들도 장시성의 매장 금지 정책을 비판하기 시작했다. 화장만 허용하는 장시성의 정책이 과하다는 목소리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30일 사설을 통해 “그런 야만적인 조치를 시행할 이유가 있냐”며 “장례 문화 개혁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더라도 인민의 마음에 상처를 주면 정부에 대한 신뢰가 없어진다”고 했다.

중국은 1956년부터 장례 방식으로 매장을 법으로 금지하고 화장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매장 방식을 선호하는 중국인이 많아 묘지가 부족한 실정이다. 중국 정부는 2014년 묘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0년 말까지 화장률을 10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