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를 이탈함으로써 단 한 번 캄캄한 하늘에 획을 긋는 별똥별, 김중식(51) 시인은 그 운명을 택했으되, 결국 먼 길을 돌아 집으로 회귀한 것이다. 압도적 찬사를 받은 첫 시집 '황금빛 모서리'(1993) 이후 돌연 절필했던 그가 25년 만에 두 번째 시집으로 돌아왔다. "밤에 시 쓰다 잠깐 고개를 들면 어느새 동이 터오곤 했다. 그 황홀경을 끝내 잊지 못했다. 다시 고개 들었더니 25년이 지나갔다."
이번 시집 제목 '울지도 못했다'는 수록작 '늦은 귀가' 마지막 문장에서 따왔다. '나는 내가 지난 세월에 얼마나 날뛰었는지를 잘 알고 있었으므로 울지도 못했다'는 자백. "좋게 말해 방황이고, 인생을 낭비했다. 주변에 많은 사랑을 주지도 못했고, 사회에 딱히 기여한 것도 없다. 너무 많은 죄를 지어 내 고통에 대해선 울 면목도 없다는 의미가 될 수 있겠다."
1995년 들어간 첫 직장에서 10년간 신문사 기자로 일했다. 그리고 시를 끊었다. "젊은 시절 가장 큰 고통이 경제적 부자유였다. 장결핵을 앓았을 때, 병들어서라도 하고 싶은 짓만 하고 싶었다. 하지만 행복하려면 밥벌이가 돼야 한다. 당시의 나는 근본주의자였다. 직장 다니는 작가는 전부 가짜로 여겼다. 하루 대부분의 힘을 엄한 데 바치고 밤에 한두 시간씩 쓰는 건 견딜 수 없는 모독이었다."
시어를 잊자 정치의 언어가 찾아왔다. "신문사 그만두고, 후배 소개로 국정홍보처에 지원해 일했다. 참여정부 마지막 해, 대통령이 남기려는 정책 유산을 정리해 책으로 묶는 일이었다." 1년 뒤 정권이 바뀌었고, 사무실은 해체됐다. "계약직이었으니 나도 떨어져 나갔다. 그러다 운 좋게 그해 가을 미래기획위원회, 이듬해 봄 청와대 연설비서관실에서 연락이 왔다." 3년간 대통령 연설문을 썼다. "연설문은 대통령의 언어다. 그의 의중을 읽어야 했다. MB는 난해하거나 닭살 돋는 말을 싫어했다. 실용적이고 메시지가 명확해야 좋아했다. '비 올 때는 우산을 뺏지 말아야 한다'처럼. 다만 검토 과정을 거치면 초안 반영률은 3할도 안 됐다." 거의 수정 없이 통과된 원고는 2010년 '천안함' 연설문이었다. "전사자 46명의 이름을 일일이 호명하면서 대통령이 눈물을 흘렸다. 그런 일은 드물다."
남의 언어를 부리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속에 불구덩이가 생겼다. 먼 데로 떠나고 싶었다." 자원해 2012년 주이란대사관 문화홍보관이 돼 테헤란으로 갔고, 3년 반을 사막 기후에서 살았다. "대학 시절 내가 느낀 세상은 앞이 안 보이는 사막이고 불모였다. 말이 씨가 됐나 보다." 그 불볕 땅에서 시작(詩作) 메모 대부분을 완성하고, 지옥·연옥·천국을 거치는 단테의 '신곡' 구조에 착안해 시집을 꾸렸다. "1·2부는 첫 시집의 암울한 정서와 유사한데, 3부에서 천국이라는 한 줄기 가능성을 내비친다. 진부하지만 그 가능성은 사랑이다. 나는 정말이지 그간 사랑이라는 걸 모르고 살았다." 그는 시집 마지막에 '우리는 다가가면서 멀어질지라도/ 봄에 할 일은/ 꽃을 피우는 것'(물결무늬 사막에서)이라 썼다.
그 꽃은 가족일 것이다. 그는 "첫 시집은 어머니께, 두 번째 시집은 아내에게 바친다"고 했다. "나를 낳은 건 엄마지만, 나를 키운 건 아내다. 칠남매 홀로 건사한 할머니, 하루 열여섯 시간 일하며 자식 대학까지 보낸 어머니…. 이 세상의 끝에 여성이 있는 것 같다. 세 번째 시집이 나온다면 내 딸을 포함한 이 세상의 딸들에게 바치고 싶다."
'헤매다 보면 종점이었다'(어쩌다 종점)는 고백은 다시 집으로 걸음을 옮겨야 하는 운명을 예비하고 있다. 그는 "청춘과 지금의 나 모두를 구해준 건 시"라고 말했다. 지금껏 회자되는 대표시 '식당에 딸린 방 한 칸' 마지막 문장처럼 '내가 무수히 떠났으되 결국은 돌아오게 된, 눈물겨운' 세상 끝의 집으로 그는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