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외무성이 한반도 상황 변화와 북한과의 협상에 대비하기 위해 북한 전담 조직을 처음으로 신설한다.

도쿄의 외교 소식통은 25일 "다음 달 1일부터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의 북동아시아과가 한국을 담당하는 북동아1과, 북한 문제를 맡는 북동아 2과로 나뉘어 운영된다"고 밝혔다. 한반도를 담당해 온 일본 외무성 북동아시아과에는 약 50명의 외교관이 근무 중이다. 이 중에서 약 3분의 1가량이 북한을 담당하는 북동아2과에 배속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에 외무성 본부와 주한 일본대사관에서 근무하며 북한 문제를 담당했던 외교관들도 일부 추가 배치될 가능성도 있다.

일 외무성에 신설되는 '북한과(課)'는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일본이 적극 참여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납치자 문제 해결을 위한 북·일 협상 로드맵을 만들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오는 9월 아베 신조 총리의 자민당 총재 3선(選) 연임 여부가 결정된 후에 북·일 간 교섭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막후에서 이와 관련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북한 비핵화 과정에 일본의 핵 시설 해체 전문가들을 참여시키는 방안도 만들었다. 2011년 3·11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福島) 원전 폐쇄 경험을 살려서 북 비핵화에 참여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지난 24일 보도했다.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 외무상은 조만간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직접 방문, 북 비핵화 과정에 전문가를 참여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아마노 유키야(天野之彌) IAEA 사무총장이 일본 출신이라는 점을 적극 활용해, 북 비핵화 과정에서 '재팬 패싱(일본 배제)'을 막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