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북한 금강산호텔에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논의하기 위해 열린 남북 적십자회담 종결회의에서 우리측 수석대표인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왼쪽)과 북측 수석대표인 박용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이 공동보도문을 들고 악수하고 있다.

남북이 22일 금강산에서 남북 적십자회담을 열고 3년 만에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합의했지만, 일회성 상봉을 넘어서는 근본적 해법을 도출하지는 못했다. 아울러 북측이 이상상봉과 연계해온 12명의 해외 탈북 종업원 송환 문제에 대한 논의 역시 표면적인 수준에 그쳤다.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은 이날 금강산호텔에서 개최된 회담을 마친 후 브리핑에서 “탈북 종업원 송환 문제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됐다 하는 것은 전체가 흐르는 물결 속에서 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는 좀 (언급을) 삼가겠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또 북한에 억류된 우리 국민 송환 문제가 일부 언급되긴 했으나, 이날 회담은 8.15를 계기로 한 이산가족 상봉 논의에 집중됐다고 덧붙였다.

이어 “계속 만나서 이산가족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고 만나기로 합의한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합의문에 적시된 상봉 규모) 숫자보다 더 깊은 장기적 문제들이 합의됐다”고 했다.

이날 회담에서 남측은 이산가족 상봉의 근본적 해결에 무게를 두고 전면적 생사 확인 상봉 정례화 성묘 및 고향 방문 화상 상봉 등을 제기했다. 일단 해당 내용들이 공동보도문에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우리측은 남북이 추가 적십자회담과 실무회담을 열어 논의를 이어가기로 한 만큼, 향후 상황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는 입장이다.

반면 북측은 인도적 지원 문제를 주로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 단장인 박용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은 회담 종료 이후 남측 취재진과 만나 “오늘 아주 소중한 합의를 이뤘고, 이제부터 시작”이라며 “이 시작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북과 남이 다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당 발언이 ‘인도적 지원 문제’를 뜻하는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박 부위원장은 “그렇다. 저희 일이 적십자 문제 논의하는 것 아니냐”라고 답했다.

한편 이날 합의한 상봉 규모는 남북 각각 100명으로 종전과 같은 규모에 머물렀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말까지 공식 등록된 이산가족은 총 13만2124명이다. 이 중 생존자는 5만6890명이며, 상당수는 80대 이상 고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