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시장을 독점하면서 여론 조작과 왜곡, 사이비 언론의 온상으로 전락했다고 지목받아온 네이버가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를 빼고 뉴스 편집을 포기하겠다고 발표했다. 댓글 허용 여부나 정렬 방식에 관한 결정권을 올 하반기부터 각 언론사에 넘기기로 했다. 네이버 안에 독자를 가둬놓는 현재 '인링크' 방식에서 뉴스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연결되는 '아웃링크' 방식으로의 전환도 개별 매체와 협의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여론 조작의 한 도구였던 실시간 검색 순위는 초기 화면에서 빼내 뒤로 배치하겠다고 한다. 언론의 책임은 하나도 지지 않으면서 뉴스로 돈벌이하는 모델을 수정하겠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드루킹' 같은 인터넷 여론 조작단의 활동 온상이다. 네이버의 이번 개편안은 너무 늦었지만 가야 할 방향이다. 네이버는 엉뚱한 언론 행위가 아닌 구글과 같은 글로벌 '기술 플랫폼'으로 거듭나야 한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문제가 남아 있다. 네이버는 모든 기사를 '아웃링크'로 일괄 전환하지 않고 개별 언론사가 원할 경우 지금처럼 '인링크' 방식을 유지하겠다고 한다. 언론이라고 하기 어려운 수많은 '언론사'가 힘을 갖고 기업을 협박할 수 있는 것은 순전히 네이버를 이용한 것이다. 기업들이 두려워하는 것은 이 언론사들이 아니라 네이버다. 엉터리 언론사들과 네이버를 연결하는 방식이 바로 '인링크'다. 이 '인링크'를 그대로 두면 네이버의 유사 언론 행위와 사이비 언론의 갑질이 없어질 수 없다.

네이버가 일부 발을 뺀 뉴스 장사에 다른 포털이 새롭게 뛰어들 가능성도 있다. 2위 포털인 다음은 아직 뉴스 서비스 개편안을 내놓지 않았다. 제2, 제3의 뉴스 장사꾼과 인터넷 여론 조작이 나타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 왜곡, 조작으로 엉망이 된 공론 장(場)을 정상화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실질적인 언론 행위를 하면 예외 없이 언론으로서 책임을 지우는 것이다. 뉴스를 제작한 언론사에만 책임을 물리는 현행 법을 개정해 뉴스 유통업자에게도 언론과 똑같은 책임을 부과해야 한다. 포털에도 언론처럼 오보(誤報)나 명예훼손 등의 책임을 물린다면 남의 뉴스로 쉽게 돈벌이하려는 생각은 하지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