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도보다리' 밀담(密談)에 대해 "미·북 정상회담에 대해 김 위원장이 묻고 내가 말을 해줬다"고 말했다고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30일 전했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의 '도보다리' 대화는 대화 기록이나 녹음이 없이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참모들의 질문에 답하면서 도보다리 대화를 언급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북·미 정상회담 이야기 외에는 구체적인 이야기는 알 수 없다"며 "핵실험장 폐기 등에 대한 이야기는 도보다리에서 나오진 않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도보다리 대화 이후에도 '평화의집'으로 돌아와 10분 이상 배석자 없이 독대를 했다고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이날 방송에서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 당일 김정은에게 남북 경협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반도 신경제구상'에 대한 책자와 소개 동영상 USB도 건넸다. 문 대통령은 대선 공약과 이후 국정과제 논의를 통해 ▲동해권 에너지 벨트 ▲서해안 산업·물류·교통 벨트 ▲DMZ(비무장지대) 환경·관광 벨트 등 3대 벨트와 남북한을 하나의 시장으로 연계하는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이 건넨 책자에는 남한의 전기를 북한에 송전(送電)하는 내용도 '에너지 벨트' 분야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회담이 잘되고 교류가 본격화되면 이런 협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말이 아니라 책자와 동영상으로 전달한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회의에서 "내가 27일 남북회담 소감을 밝힐 때 '남북 경협을 위한 남북조사 연구 작업이 이행되길 바란다'고 했다"며 그 의미를 설명했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북·미 정상회담이 끝나길 기다려야 하는 것들은 여건 조성을 기다려야 하고 대북 제재와 관련 없는 것들은 빨리 당장 실행해나가자는 의미"라며 "제재가 풀릴 것을 대비해 남북이 어떤 경협을 할 수 있을지 미리 대비해 공동 조사를 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