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 연구 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미국 워싱턴의 한·미 관계 싱크탱크인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USKI)에 대한 예산 지원을 오는 6월부터 중단키로 한 것으로 5일 확인됐다. KIEP는 또 워싱턴의 한미경제연구소(KEI)에 대한 예산 지원 축소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USKI 지원 중단 결정엔 구재회 USKI 소장 교체 요구를 존스홉킨스대 측이 거부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구 소장은 2007년 7월부터 12년째 USKI를 이끌어왔다. 미국 싱크탱크에 대한 연구 지원 사업에서도 코드에 따른 구조조정, 이른바 '적폐 청산'이 시작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본지가 입수한 KIEP의 'USKI 사업 개선 조치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KIEP는 지난달 29일 이사회를 열어 USKI에 대한 지원 중단을 의결했다. KIEP는 지난 4일 로버트 갈루치 USKI 이사장에게 5월까지만 기관 운영 경비를 지원하겠다는 뜻을 전달했다. KIEP는 미국 내 우호적 여론 조성과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매년 20억원 안팎을 USKI에 지원해 왔다. 이에 따라 USKI의 북한 관련 연구와 '38노스' 운영, 미국 내 네트워크 구축 업무가 사실상 중단될 상황에 처했다. KIEP 관계자는 "KEI도 운영에 문제가 있어 지원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자유한국당은 "현 정부가 보수 성향의 미 연구진을 교체하면서 싱크탱크 지원 사업에서도 이른바 '적폐 청산'에 들어간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