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국정원장은 12일 일본을 찾아 고노 다로 외무상에게 남북, 미·북 정상회담 추진 상황을 설명했다.
청와대는 "고노 외무상이 서 원장에게 '방북 당시 일본인 납치 피해자 문제가 거론됐는지'를 물었다"고 전했다. 또 고노 외무상은 북·일 외교 현안 등에 관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언급한 메시지가 있는지를 확인하면서 "북한이 비핵화를 행동으로 옮길 때까지 최대 압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서 원장은 최근 남·북·미 대화 국면에 '재팬 패싱(일본 배제)'을 우려하는 일본 측에 남북이 합의한 6개 항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정상회담 결단 과정을 상세히 설명했다. 또 "(북한과) 일본인 납치자 문제는 논의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서 원장과 고노 외무상은 이날 도쿄 외무성 공관에서 만찬도 함께 하며 2시간 50분간 대화를 했다. 이 자리에는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야치 쇼타로 일본 국가안보국장, 기타무라 시게루 내각 정보관 등도 참석했다.
만찬 후 청와대는 "고노 외무상이 한국의 노력에 경의를 표하며 현 상황을 '동아시아 기적 직전'이라고 평했다"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과 긴밀히 협의·공조해나가겠다는 언급도 했다"고 밝혔다. 고노 외무상은 "최근 북한의 변화는 한·미·일이 연계한 최대 압력의 성과이며, 북한의 핵 포기를 위해 최대 압력을 계속해나간다는 데 서 원장과 의견이 일치했다"고 밝혔다. 또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사찰을 북한이 받아들이면 초기 비용 3억엔(약 30억원)을 부담하겠다"고도 했다.
서 원장은 13일 오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면담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구체적으로 남·북·미 대화 추진 상황을 설명하고 정상회담 지지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중국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13일 곧바로 러시아 모스크바로 이동해 고위 당국자들에게 방북·방미 성과를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