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화폐에 투자하던 20대가 숨진 채 발견됐다. 대학을 휴학하고 작년 10월부터 부산의 한 구청에서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하던 중이었다. 한때 투자금을 10배까지 불리기도 했지만, 최근 폭락으로 불면증을 호소하는 등 힘들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고 이유를 조사 중이라고 한다. 가상 화폐 투자 실패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는 모양이다.
천정부지로 치솟아 투기 과열을 걱정하던 가상 화폐가 올 들어 미국 등 주요국의 규제 강화와 우리 정부의 실명거래 대책 등으로 가격이 떨어지는 중이다. 이제는 투자자 손실과 그 여파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으로 돌변했다. 국내 비트코인 가격은 작년 말 2200만원을 넘어섰던 것이 1100만원으로 반 토막이 났다. 국내 가격이 국제 가격보다 30%나 높아 '김치 프리미엄'이라는 말까지 등장했지만, 지금은 그 차이가 5% 이하다. 손실을 입는 투자자들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가상 화폐 투자자의 60%인 180만명이 20~30대다. 내무반의 군인들까지 가상 화폐 투자를 하고 있다고 한다. 각 부대 지휘관들이 "가상 화폐에 투자하지 말라"는 내용의 정신 교육을 할 지경이다. 국방부는 병사들이 이용하는 '부대 내 PC방'에서 가상 화폐 거래소 사이트를 차단할 예정이다. 휴대전화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사회복무요원들은 투자를 막을 방법도 마땅치 않다고 한다. 세종시 등 관가(官街)에는 20~30대 공무원들 중 가상 화폐 투자자가 적지 않다고 한다. 지난해 가상 화폐 대책을 카카오톡으로 유출한 공무원도 관세청 6급 주무관이었다. 가상 화폐 가격이 급락하면 이들 우리 사회의 중추를 이루는 청년층에서 심각한 사태가 발행할 수 있다. 정부가 최대 사회문제로 보고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된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가상 화폐 거래소에 대한 대규모 해킹이다. 지난달 말 일본 거래소 한 곳이 5600억원 가상 화폐를 해킹으로 도난당했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거래소 3곳이 고객 계좌와 개인 정보 등을 해킹당했고, 작년12월 10위권 가상 화폐 거래소가 해킹으로 파산 위기에 몰렸다. 가상 화폐 거래소는 예금보험공사의 투자자 보호 대상이 아니라 해킹 피해는 투자자 손실로 이어진다. 국내 사설(私設) 거래소들은 상위권 거래소라고 해도 자본금이 10억원 안팎이다. 이런 곳들은 해킹 무방비나 다름없다. 일각에선 정부가 공인하는 거래소를 설립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장외 거래를 장내로 옮기는 방법이다. 과세 문제, 불법 거래 문제 등도 해결할 수 있다. 가상 화폐를 공인한다는 부담이 있지만 300만명이 하루 수조원씩 거래하는 현실을 더 이상 방치할 일이 아니다.
카카오, 넥슨, 네이버 등 국내 IT 대표 업체들이 일본과 국내에 가상 화폐 거래소를 세우거나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수수료 수입 목적일 수도 있지만 가상 화폐 세계가 가진 기술적 기회를 주목한 의미도 있을 것이다. 이 물꼬를 어떻게 터서 끌고 가는지를 보면 정부의 문제 해결 능력과 정책 역량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