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지지자들이 지난 24일 미(美) 뉴욕 타임스스퀘어 전광판에 문 대통령 생일 축하 광고〈사진〉를 돈을 모아 게시한 것을 두고 '횡령'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일부 네티즌이 "광고 비용보다 모금액이 더 많은 것 같은데 일부를 빼돌린 것 아니냐"고 주장한 것이다. 하지만 문 대통령 지지자들은 "허위 사실로 법적 대응하겠다"고 반발했다.
문 대통령 생일 축하 광고는 트위터에서 '오소리헵번'이라는 아이디를 쓰는 네티즌 A씨 등 미국 교민들이 기획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3~24일 2분 30초 분량의 축하 광고가 총 5번 나갔다. A씨는 이달 중순부터 트위터 등에 '문프(문재인 프레지던트) 생일 축하 광고 프로젝트'라는 글을 통해 계좌 번호를 공개한 뒤 모금 활동을 했다.
A씨는 "980만원이 모였는데 계좌를 잠시 닫고 새 계좌를 열겠다"며 "기부금 1000만원 이상은 미리 신고를 해야 하는데 급히 진행된 이벤트라 하지 못했다"고 했다. 현행 기부금품법은 1000만원 이상을 모금하려면 사전에 지방자치단체장 등에 신고해야 한다. A씨는 이후 다른 계좌를 통해 수차례 모금 행사를 벌였다. 모금액이 수천만원에 달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런데 인터넷 사이트 '일간베스트'의 한 이용자가 "타임스스퀘어 광고 한 번에 비용이 60만원밖에 안 들더라. 그 많은 모금액은 어디로 갔느냐"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본격화했다. 이 이용자는 지난 25일 같은 전광판에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비하하는 광고를 게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횡령 의혹이 제기되자 A씨를 포함한 문 대통령 지지자들은 "전광판 광고는 A씨 등 교민들이 사비로 지출했다"며 "모금은 별도 행사를 위해 한 것"이라고 했다. 이어 "깜짝 이벤트용이라 자세하게 밝힐 수는 없지만 아직 쓰지도 않았다"고 했다. 하지만 일부 네티즌은 "행사 내용을 밝히지 않고 모금부터 하는 것이 맞느냐"고 반박했다. 또 "1000만원 이하씩 분산 모금했더라도 행사 성격이 비슷하면 현행법 위반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논란이 커지자 청와대는 최근 A씨에게 경위 파악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소셜 미디어 담당 직원이 A씨와 통화했다"며 "모금 과정에 문제가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