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가상화폐 거래용 계좌 폐쇄에 돌입했다. 실명인증이 된 가상화폐 거래용 서비스 도입을 연기하는 한편, 기존에 개설해준 가상계좌의 입금을 제한해 계좌를 정리하겠다는 은행도 등장했다. 가상화폐 투자자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12일 신한은행은 지난달 말 정부가 지침을 내려 보낸 ‘실명확인 입출금 서비스’를 당초 22일 도입하기로 했지만, 연기한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의 현장 점검이 길어지고 ‘거래소 폐쇄’ 방침이 나왔다가 입장을 유보하는 등 시장 혼란이 가중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 정부는 앞으로 가상화폐를 거래할 때 실명이 확인된 본인의 은행계좌를 통해서만 거래대금을 입출금할 수 있는 ‘가상통화 거래 실명제’를 실시한다고 발표했었다.
이제까지 사설(私設) 가상 화폐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등을 사려면 거래소가 가상으로 관리하는 계좌로 송금하면 됐기 때문에 은행이 거래자의 실명을 확인할 수 없었는데, 앞으로는 은행이 실명을 확인한 거래자 본인의 계좌와, 같은 은행에서 만든 가상 화폐 거래소의 본인 계좌 사이에서만 입출금을 허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은행에게 가상화폐 거래자의 실명 확인 책임 등을 지워 시장 과열을 막겠다는 취지였다.
이에 시중은행은 실명확인 서비스 도입을 준비해왔지만, 정부가 거래소 가상계좌 현장점검을 강화하면서 시일이 잠정 미뤄지게 됐다.
신한은행은 또 빗썸과 코빗, 이야랩스 등 3개 거래소에 기존 가상계좌 정리 방안을 마련하라고 통보하는 한편, 15일부터 기존 가상계좌로의 입금도 금지한다고 공지했다. 출금만 허용된다.
기업은행 역시 실명확인 입출금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기로 하는 한편, 기존 계좌도 차차 입금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해지를 유도하기로 했다.
신한은행 등을 통해 가상화폐를 거래하던 투자자들은 “신행은행 계좌 해지하러 가즈아”, “신한카드 잘라버리겠다” 등 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12일 오전 11시 현재 ‘신한은행 해지’가 주요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