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어제 임명한 해외 공관장 39명 중에는 이른바 '캠코더(문재인 캠프·코드 인사·더불어민주당)' 출신이 다수 포함돼 있다. 주독일 대사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학 동문으로 학생운동을 함께했던 전(前) 의원이 임명됐다. 노무현 청와대의 홍보수석, 김대중 청와대의 총무비서관도 유럽국 대사가 됐다. 이름을 들으면 혹시 동명이인(同名異人) 아닐까 생각될 정도로 이미 지난 시대 사람들이다. 노무현 청와대 외교 안보 실세였던 전 비서관도 중국 총영사로 나간다.
어느 정도 비율로 민간 출신 대사 임명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그런 민간 출신 대사는 임명 이유가 있어야 한다. 이번 공관장 인사를 보면 이미 10여년 전에 공직을 마친 구(舊)인물이 다수 포함돼 있다. 공직 임명이 아니라 오랜만에 정권 잡아 편하고 좋은 자리 나눠 먹는다는 느낌이다. 실제 이 대사들은 앞으로 2~3년 동안 별로 하는 일도 없이 좋은 대접 받으며 지낼 것이다. 물론 모두 국민 세금이다. 그동안 주로 한·미 동맹 관련 업무를 하며 외교부의 주류로 활동해 온 엘리트 외교관들을 배척하는 현상은 뚜렷해지고 있다. 전(前) 정부 외교부의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기획조정실장과 총리 외교보좌관은 보직조차 받지 못했다.
북핵 사태는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렵다. 세계적 보호 무역 파도도 높다. 세계에서 외교가 가장 중요한 나라를 꼽으라면 한국이 몇 손가락 안에 드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이번 외교관 인사는 이런 나라에서 벌어지는 일이라고 믿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