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4일 지난달 탄저균 백신 구입을 놓고 인터넷에서 “청와대 관계자들만 탄저균 백신을 수입해 주사를 맞았다’는 논란이 커지자 “치료 목적으로 구입했을 뿐 예방 접종을 하지 않았다”라고 반박했다.
앞서 일부 인터넷 매체는 ‘청와대 내 500명이 탄저균 백신 주사를 맞았을 것’이라는 내용을 보도했다. 지난 20일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생물학무기인 탄저균을 탑재하는 실험을 시작했다”는 일본 아사히신문의 보도에 이어 이런 기사가 나오자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선 “북한이 탄저균으로 위협하는데 국민은 안중에 없고 청와대 관계자들만 백신을 맞았다는 것이냐”는 비판이 쏟았다.
청와대 홈페이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이날 오후 5시 현재 “대통령만 백신 구입하셨다는 사실 밝혀주세요” “국민도 예방주사를 맞고 싶습니다” 등 청원글이 30건 넘게 올라왔다.
논란이 커지자 청와대가 직접 해명에 나섰다.
청와대 박수현 대변인은 이날 오후 보도자료에서 “2015년 미군기지 탄저균 배달 사고가 이슈화한 뒤로 탄저균 대비 필요성이 대두해 치료 목적으로 백신을 구입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올해 7월4일 청와대 경호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공문을 발송해 해당 백신 구매를 의뢰했다. 국내 임상실험을 실시하지 않은 약품을 도입할 때에는 식약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이라며 “식약처가 주관하는 희귀 의약품 도입회의에서 탄저백신 수입이 승인됐고, 11월2일 350명이 사용할 수 있는 탄저균 백신을 도입해 국군 모 병원에서 보관하고 있다”고 했다
박 대변인은 “탄저균 백신은 탄저균 감염 시 항바이러스제와 병행해 사용하면 치료 효과가 커진다”며 “국내 임상시험이 시행되지 않아 예방접종은 고려하지 않고, 치료 목적으로만 이용할 계획”이라고 했다.
백신 수입 경위에 대해 박 대변인은 “2016년 당시 청와대 경호실은 탄저균 백신 도입을 추진했고 이를 2017년 예산에 반영했다”며 “이전 정부부터 추진된 사업”이라고 했다.
청와대는 이와 별도로 질병관리본부가 생물테러 대응요원과 국민을 치료할 목적으로 1000명분의 탄저균 백신을 도입해 모처에서 보관 중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