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베이징과 산둥성에 한해 한국행 단체 관광을 허용했던 중국 정부가 내년 1월부터 이를 다시 금지시키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중국 여행업계에 따르면 산둥성 여유국은 20~21일 성내 각 도시별로 현지 여행사 대표들을 불러 "내년 1월부터 한국행 단체 관광을 금지한다"고 통보했다. 여유국 측은 또 "이미 모집한 12월 출발 단체 관광도 성 여유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 단체 관광은 원래 시(市) 여유국 허가만 받으면 되지만 성(省) 여유국 허가까지 받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산둥성 칭다오에 있는 여행사가 올 연말까지 출발하는 한국행 단체 관광 상품을 판매·모객하려면 칭다오시 허가를 받고 성도인 지난(濟南)에 가서 또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12월 중 한국행 단체 관광도 사실상 금지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베이징의 경우 21일 현재 일부 여행사가 내년 1월 한국행 단체 상품을 판매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여유국이 다음 주 초 회의를 소집해 산둥성과 같은 지침을 내릴 것"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앞서 중국 국가여유국은 지난 19일 한국행 단체 비자를 신청한 베이징 지역 여행사 최소 3곳에 대해 비자 승인을 거부했다.

한국행 단체 상품을 팔던 대형 국영 여행사들도 20일부터 하나둘 한국행 단체 상품 판매를 중단하는 등 이상기류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여행사가 예약한 단체 승객 티켓도 잇따라 취소되고 있다"고 했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 방중(訪中) 이후 한국행 단체 관광이 확대될 걸로 기대했는데 정반대 결과가 나타나 당혹스럽다"고 했다. 특히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중국이 이렇게까지 하는 이유가 납득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중(駐中) 대사관 측은 "이번 조치는 한·중 간 교류·협력 확대 기류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여유국 측과 접촉하고 있다"고 했다.

관광업계에서는 중국 국가여유국이 지난달 28일 베이징·산둥성에 한해서만 한국행 단체 관광을 허용했지만 중국 내 다른 지역에서도 한국행이 늘어나자 여유국 내에서 '관리 필요성'이 제기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문 대통령 방중(訪中)이 끝난 지 불과 4~5일 만에, 그것도 전면 금지로 회귀하는 건 업계에 대한 경고 차원을 넘어서는 조치라는 시각도 있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중국 측이 문 대통령 방중 이후 한·중 관계 회복 기대감이 커진 한국을 향해 '사드 문제가 완전히 끝난 게 아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길들이기를 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조치 하나하나에 한국이 민감하게 반응하니까 중국은 별것 아닌 것도 한국을 옥죄는 카드로 쓰려고 한다"며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