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14일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에서 전쟁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내용을 포함한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4가지 원칙'에 합의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양 정상이 합의한 4대 원칙은 ▲한반도 전쟁 불가 ▲한반도 비핵화 원칙의 확고한 견지 ▲모든 문제의 대화·협상 통한 평화적 해결 ▲남북 관계 개선 통한 한반도 문제 해결 도움 등이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 중단을 촉구하면서도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 강화는 '4대 원칙'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다만 한국 측은 회담 결과 발표문에서 "두 정상은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이 한반도 및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는 등 제재와 압박으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유도하기 위해 계속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대북(對北) 원유 공급 중단을 요청하지 않았다. 그 대신 "제재에서 중국의 더 많은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밝혔다.
시 주석은 지난 7월과 11월 정상회담에 이어 3회 연속으로 사드 문제를 거론했다. 시 주석은 비공개 회담에서 "사드 문제를 한국이 적절히 처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중국 측이 발표했다. 윤 수석도 "시 주석이 사드 문제에 대해 중국 측 입장을 재천명하고 한국 측이 이를 계속 중시하고 적절히 처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최근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어떤 면에서는 오히려 역지사지(易地思之)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며 "그간의 골을 메우고 더 큰 산을 쌓아 나가기 위한 나름대로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이날 정상회담 이후 공동성명이나 공동 언론 발표문을 채택하지 않고 각자의 입장을 담은 언론 발표문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