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전병헌 전 정무수석 사퇴로 공석이던 신임 청와대 정무수석에 한병도(50) 현 정무비서관을 승진 임명했다. 한 수석은 임종석(51) 청와대 비서실장과 같은 전대협 3기에 문 대통령의 핵심 참모 그룹인 '마포 광흥창팀' 출신이다. 이번 인사로 청와대 비서실은 더 젊어지게 됐으며 임종석 실장의 활동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질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병도(맨 앞) 신임 청와대 정무수석이 2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소감을 밝히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홈쇼핑 업체에서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사퇴한 전병헌 전 정무수석 후임에 정무비서관이었던 한 수석을 승진 임명했다.

[문대통령, 청와대 정무수석에 한병도 임명]

청와대는 한 수석 임명 이유로 '국정 철학'을 강조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17대 국회의원 경험과 정무비서관 활동에서 보여준 것처럼 국회 소통에 적임자"라고 했다. 한 수석은 임명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여소야대 국회 상황에서 중책을 맡게 돼 어깨가 무겁다. 더 낮고 겸손한 자세로 일하겠다"고 했다. 한 수석은 정무비서관 시절 주로 대야(對野) 접촉을 위해 국회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러나 국회 경력이 17대 국회 한 번이어서 20대 국회에서 어느 정도 소통이 가능할지에 대해선 의문도 제기된다. 한 수석은 술을 한 잔도 못하는 '무주파(無酒派)'다. 사석에서 그는 "술을 한 병도 못 마신다고 해서 '한병도'다"는 농담도 한다.

청와대 정무수석은 비서실장이 공석일 때 비서실장 업무를 대리하는 선임 수석이다. 문 대통령이 그런 자리에 임종석 실장과 전대협 3기 활동을 했던 한 수석을 임명하자 임 실장의 '그립(장악력)'이 더욱 강해졌다는 해석도 있다. 한 수석은 전북 익산 출신으로 1989년 원광대 총학생회장과 전대협 산하 전북 지역 조국통일위원장을 지냈다. 1989년은 임 실장이 전대협 3기 의장으로 활동하며 임수경씨를 방북시켰던 해다. 학교는 같이 다녔지만 나이는 임 실장(51)이 한 살 위다.

한 수석 카드는 청와대의 '친문' 색채 강화와 '광흥창팀'의 약진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서울 마포구 광흥창역 인근에 사무실을 뒀다고 해서 붙여진 '광흥창팀'은 문 대통령 대선 출마 기반을 닦은 참모 그룹이다. 멤버가 임 실장, 한 수석, 윤건영 국정상황실장, 신동호 연설비서관, 조용우 국정기록비서관, 조한기 의전비서관, 이진석 사회정책비서관, 오종식·탁현민 행정관 등이다. 광흥창팀 멤버 중 청와대 밖 인물은 양정철 전 청와대 비서관 정도다. 한 수석은 '광흥창팀'에서 조직을 담당했었다. 여권 관계자는 "광흥창팀은 '친문'이라기 보다 정권과 운명을 같이할 '진문(眞文)'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일각에선 "임 실장과 한 수석의 관계를 상하 관계나 '한 몸'으로 보면 지금의 청와대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고도 한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두 사람이 가깝지만, 한 수석은 임 실장과 다른 독립된 영역이 있는 인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