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가여유국이 28일 그동안 전면 금지했던 한국행 단체 관광을 8개월 만에 일부 해제하기로 했다. 베이징과 산둥 지역에 한해서만 한국행 단체 관광을 허용한 것이다. 지난해 베이징·산둥 지역에서 한국에 온 중국인 관광객은 전체 중국인 방한객 780만명의 30% 정도라고 한다. 세계에 자국민의 해외 관광을 외국에 대한 외교 무기로 사용하는 나라는 중국 외에 없을 것이다. 공산당이 어느 나라에 단체 관광을 가지 말라고 국민에게 지시할 수 있고, 그 지시가 실제로 이행되는 나라가 중국이다. 중국이 어떤 나라인지 알아야 한다.

중국은 마치 시혜를 베풀듯 '한국에도 다시 가라'면서도 허용 지역을 한정했다. 이날 산시(陝西)와 허난 지역의 한국행 단체 관광 해제도 같이 검토됐지만 불허됐다. 크루즈와 전세기를 동원한 단체 관광은 여전히 금지이고, 온라인 여행사를 통한 관광 신청도 막혀 있다. 특히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의 롯데호텔 숙박이나 롯데면세점 쇼핑 등은 절대 안 된다'는 지침을 내린 것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다.

중국이 이러는 것은 롯데를 제물로 삼아 한국의 모든 기업과 한국민 모두에게 본보기를 보이려는 것이다. 중국이 외국에 치졸한 경제 보복을 한 것이 한두 번이 아니지만 이렇게 '길들이겠다'고 노골적으로 나온 경우는 없었다. 앞으로 한국이 하는 것을 봐가며 떡 주듯이 찔끔찔끔 해제해주겠다는 것이다.

중국이 사드에 시비를 거는 것은 미국 때문이다. 그런데 미국에는 사드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있다. 일본의 사드 레이더는 전진 배치형으로 중국까지 전파가 미친다. 하지만 일본에도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북핵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드를 배치한 한국에만 갑질을 부리고 있다. 결국 중국에 앞서 우리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다.

군사 장비 배치는 한 국가의 고유한 주권이다. 중국의 사드 보복은 이 주권을 훼손하는 것이다. 국가로서 이 이상 위협이 없다. 그런데도 우리는 중국 땅에서 버는 돈, 중국 관광객에게서 버는 돈과 국가 주권을 거래할 수 있는 나라처럼 처신하고 있다. 한국이 무원칙한 나라이기 때문에 중국이 '관광 무기'라는 어이없는 수단을 들고 갑질을 하는 것이다. 중국이 떡 하나 던져주듯 하는 이 오만을 그대로 두고 보면 나중엔 더 심각한 일이 벌어진다. 중국 관광객 없어도 관광산업이 무너지지 않는다. 국민이 중국 갑질을 용납하지 않아야 한다.

정부는 지난달 31일 한·중 합의로 사드 문제가 봉인됐다고 했다. 그런데 그 직후부터 시진핑 주석과 리커창 총리, 왕이 외교부장이 연속으로 나서 '적절한 사드 처리'를 요구하고 있다. 다음 달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訪中) 때도 사드 압박을 가해올 것이다. 외교를 구걸처럼 하니 나라와 온 국민이 말도 안 되는 수모를 당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