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3일 "미국과의 외교를 중시하면서도 중국과의 관계도 더더욱 돈독하게 만드는 균형 있는 외교를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이뤄진 싱가포르 채널뉴스아시아(CNA)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인터뷰는 오는 9일 방송되지만 이 방송은 예고편을 통해 일부 내용을 공개했다.
문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한국에 있어 미국과 중국 중 어느 나라가 더 중요한가'란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질문을 받은 문 대통령은 먼저 "한국으로서는 안보에 있어서 한·미 동맹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지금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서 한국과 미국 간의 공조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우리로서는 미국과의 외교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입장을 계속 유지해 갈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한편으로 중국과의 관계도 대단히 중요하다. 중국과의 경제 협력도 중요할 뿐만 아니라 역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전략적인 협력이라는 차원에서도 중국과의 관계가 아주 중요해졌다"면서 "균형 있는 외교를 하고자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일본이 북한 핵·미사일 위협 앞에 재무장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란 질문에 "일본이 북한의 어떤 핵을 이유로 어떤 군사 대국화의 길을 걸어간다면 그것도 저는 우리 아세안 국가들과의 관계에서 바람직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응해서 우리 한국과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과의 그런 공조도 대단히 중요해졌다"면서 "그러나 그 3국 간의 공조가 더욱더 긴밀해져야 되는 것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고 그것이 한국과 일본, 미국 간의 3국 군사 동맹 수준으로 발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선 "지난번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가 상당히 강도 높은 조치였고, 그 가운데 상당한 부분은 중국이 이행해야 할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성실하게 이행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것이 북핵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앞으로 중국이 지속적으로 그런 유엔 안보리 결의를 성실히 이행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점을 위해서 한국과 중국은 긴밀히 공조해 나가면서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오는 7~8일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방한에 대해 문 대통령은 "지금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로 인해서 한반도에 긴장이 극도로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그리고 또 (방한) 메시지는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그런 효과가 되면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결정적인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