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7~8일 방한(訪韓) 기간에 비무장지대(DMZ) 시찰을 하지 않기로 사실상 방침을 정한 가운데, 그 배경을 놓고 백악관과 청와대에서 서로 다른 말이 나왔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23일(현지 시각)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우리를 (평택의 미군 기지) 캠프 험프리스로 초청했다"며 "(DMZ와 캠프 험프리스) 둘 다 방문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한국 정부가 평택 미군 기지 시찰을 권유하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이 1박 2일로 짧아 결국 한 군데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날 브리핑을 두고 '한국 정부가 DMZ 시찰 일정을 간접적으로 만류한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왔다. 청와대는 앞서 미국과 일본 언론들이 '문재인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DMZ 방문이 북한 김정은과 긴장을 더 고조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고 보도했을 때도, "우리가 막은 적이 없다"고 했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캠프 험프리스 방문 일정을 권유한 것은 맞지만 DMZ 방문에 대해선 우리 정부가 찬반 입장을 낸 적이 없고, 그럴 수도 없다"고 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본지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은 미국이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DMZ에 가는 것을 막은 적도 없고, 앞으로도 막을 이유가 없다"며 "캠프 험프리스 방문은, 한국 정부가 미군 주둔에 얼마나 많은 비용을 부담하고 있으며 양국이 얼마나 협력하고 있는지를 트럼프 대통령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서 권유한 것일 뿐"이라고 했다. 한국 정부는 캠프 험프리스 건설 비용의 절반 이상인 8조9000억원을 부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