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오전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보고 받고 우리 지대지 탄도미사일인 현무-2 미사일로 즉각 대응사격을 지시한 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소집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현무-2 미사일 발사는 도발 원점인 평양 순안 비행장까지의 거리(250㎞)를 계산, 북한 도발 후 6분만인 7시 4분을 기해 이뤄졌다.
한편 문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 징후는 하루 전인 14일 보고받았으며, 현무-2 발사를 포함한 무력 대응을 사전에 재가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15일 춘추관에서 이날 문 대통령이 주재한 NSC 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북한의 추가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외교적·구사적 대응 방안을 적극 강구해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외교 안보 부처에 북핵 대응을 위한 외교적 방법 강구와 군사 대응을 지시한 뒤, "도발의 사전 징후 포착부터 도발과 동시에 이뤄진 무력시위 대응까지 전과정을 국민께 꼼꼼히 보고해 안심하실 수 있도록 하라"고 말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이 충분히 크다는 것을 예측하고 그런 기조 하에 국제공조 대응 방안을 전력적으로 세우고 안보리 결의 2375호가 철저히 이행되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라"며 "북한이 주장하는 EMP(전자기펄스)탄과 생화학 위협 등 새로운 유형의 위협에 대해서도 면밀히 분석하고 대비태세를 갖추라"고 지시했다.
박 대변인은 특히 사전 징후 포착과 관련, "14일 오전 06시45분부터 포착이 되기 시작했다"면서 "문 대통령은 다른 요소 고려 없이 북한의 도발 감행 즉시 동시에 미사일을 발사할 것을 사전에 재가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15일 새벽 북 도발 직전에 두 차례, 사후에 세 차례 보고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그만큼 북한 동향 파악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는 뜻이지만, 도발을 미리 감지한 당일인 14일 대북 인도적 지원을 발표한 것을 두고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