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이 8일 경북 성주 초전면 사드기지에서 중장비 차량을 이용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 배치 작업을 위한 평탄화 작업을 하고 있다. 지난 7일 주한미군은 사드 4기를 추가로 배치해 사드 1개 포대를 완성 했다.

청와대는 14일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를 세계무역기구(WTO)에 불공정행위로 제소해야 한다는 언론 보도 등에 대해 "한중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일축했다. 한중 우호관계가 우선돼야 한다는 메시지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지금은 북핵과 미사일 도발 등으로 중국과의 협력을 유지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며 "한중 간 어려운 문제에 대해 전략적인 소통과 협력을 더욱 강화하며 해결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중국의 사드 보복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이날 메시지가 북핵 대응과 한중 관계에 전환점이 될 지 주목된다.

박 대변인은 특히 "이 문제는 입장을 간명하게 갖고 가는 게 북한 문제에 집중하기 위한 국제 공조, 중국과의 공조에 유리하다는 판단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현재 최우선 과제는 북핵의 평화적 해결이고, 이를 위해 대북 제재 혹은 대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선 중국의 협력이 절대적인 만큼 사드 보복 문제를 공론화하는 식으로 한중 간에 불편한 관계는 만들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날 제13차 한중 통상점검 TF회의를 열고, 중국이 한국 기업을 상대로 사드 보복 조치를 계속하는 데 대해 항의 서한을 발송하고, 다음 달 열리는 WTO 서비스무역 이사회에서 '유통 및 관광 분야 보복 철회'를 촉구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그러나 청와대 차원에서 문제 제기를 하지 않기로 최종 정리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