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을 향해 “다시한번 천명한다. 우리는 북한의 붕괴를 원하지 않는다”며 “흡수통일을 추진하지도 않을 것이고 인위적 통일을 추구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산가족 상봉 등에 대한 북한의 호응을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8·15 광복절 기념식에서 “통일은 민족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이 합의하는 ‘평화적, 민주적’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북한이 기존의 남북합의의 상호이행을 약속한다면, 우리는 정부가 바뀌어도 대북정책이 달라지지 않도록, 국회의 의결을 거쳐 그 합의를 제도화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쉬운 일부터 시작할 것을 다시 한 번 북한에 제안한다”며 “이산가족 문제와 같은 인도적 협력을 하루빨리 재개해야 한다. 이 분들의 한을 풀어드릴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했다.

또 문 대통령은 “지금 당면한 가장 큰 도전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이다. 정부는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미국과 긴밀히 협력하며 안보위기를 타개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우리의 안보를 동맹국에게만 의존할 수 없다. 한반도 문제는 우리가 주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의 원칙은 확고하다”며 “대한민국의 국익이 최우선이고 정의다. 한반도에서 또 다시 전쟁은 안 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에서의 군사행동은 대한민국만이 결정할 수 있고, 누구도 대한민국의 동의 없이 군사행동을 결정할 수 없다”며 “정부는 모든 것을 걸고 전쟁만은 막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강도 높은 제재와 압박의 목적도 북한을 대화로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지 군사적 긴장을 높이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도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