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2차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 미국 조야에서 '중국 책임론'이 부상하는 가운데, 미국 외교의 거두인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이 '북한 붕괴 후 주한미군 철수'를 대중(對中) 협상 카드로 삼으라는 조언을 던졌다.
29일(현지 시각)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키신저 전 장관은 중국의 강력한 대북 압박을 끌어내기 위해선 지금까지와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북한 정권의 붕괴 이후 상황에 대해 미국이 중국과 사전에 합의하면 북핵 문제 해결에 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키신저는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을 비롯한 다른 백악관 관리들에게 이 같은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키신저 전 장관은 특히 그 합의 사항 중 하나로 북한 붕괴 이후 한반도에서 대부분의 미군을 철수시키는 것을 언급했다고 NYT는 전했다. 중국은 북한 정권 붕괴시 미국과 사이에 '완충(buffer) 지대'가 없어져 통일한국에 주둔하는 미군과 국경을 맞대는 상황을 가장 두려워하는 만큼, '주한 미군 철수'로 중국을 안심시킨다면 중국이 대북 제재에 보다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않겠냐는 것이다.
그러나 키신저의 이런 조언에 대해 다수 전문가들은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NYT는 보도했다. 이들은 "(냉전 때) '베를린 장벽 붕괴시 러시아를 서방 세계에 통합하겠다'고 한 미국의 약속이 결국 지켜지지 않은 만큼, 중국이 미국의 이 같은 약속을 믿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입력 2017.07.31. 11:09업데이트 2017.07.31. 11:21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