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조선중앙통신에 보도된 대륙간탄도미사일급 '화성-14'형 미사일 2차 시험발사 사진.

청와대는 30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도발과 관련,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 자강도 무평리에서 발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사실을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기) 이틀 전인 26일에 보고받았고, 발사 임박 사실도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으로 사전에 보고받은 상태였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28일 밤 11시41분 중국과 접경 지역인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1발을 시험 발사했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기자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진행된 한미 간 일련의 대응 조치는 미사일 발사 사실을 몰랐다면 준비할수 없는 내용들”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국방부를 포함한 우리 정부는 북한의 도발 움직임을 24시간 면밀히 주시하고 있슴을 명확히 확인드린다”고 했다.

이는 “우리 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시간과 장소를 제대로 미리 파악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되는 데 대한 반박이었다.

미리 예측했던 만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인 29일 새벽 1시 문재인 대통령이 NSC 회의를 열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잔여 발사대 4기 추가 배치 등과 같은 대응 지시를 내렸고, 29일 오전 우리 군과 미군이 동해안에서 연합 탄도미사일 사격 훈련 등을 바로 실시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윤 수석은 또 “휴가 중인 문 대통령은 내일(31일) 진해 군부대 내 휴양시설로 이동한다”며 “군휴양 시설로 휴가지를 잡은 이유는 북한 미사일 발사등 긴급한 상황에서도 관련 내용을 신속히 보고받고 화상회의 등을 통해 군통수권자로서의 지휘권을 행사하는데 최적의 장소라는 판단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