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7일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때 설치·운영했던 대통령 주재 반(反)부패기관협의회를 복원해 국가 차원의 반부패 정책을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며 '반부패 컨트롤 타워' 설치를 지시했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민정수석실 주도로 감사원 등 9개 기관의 국장급이 참여하는 방산 비리 근절 유관기관 협의회도 만들어 18일 첫 회의를 열기로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공직사회 부패 청산이 최우선 과제이기 때문"이라고 했지만 일각에서는 지난 정부의 적폐 청산을 명분으로 한 본격적인 사정(司正) 신호탄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부정부패와 방산 비리 근절은 새 정부를 탄생시킨 국민의 여망"이라며 "미룰 수 없는 과제이고 새 정부가 반드시 이뤄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노무현 정부 때인 2004년 1월 설치돼 9차례 회의를 개최했던 '반부패기관협의회' 복원을 지시하면서 "당시 국가 청렴도 지수와 반부패 지수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했다. 과거 '반부패기관협의회'는 대통령이 회의를 주재하며 국정원장, 법무·국방·행자부 장관, 검찰총장, 국세청장, 관세청장, 경찰청장, 청와대 민정수석 등이 참여했었다.
문 대통령은 또 감사원이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수리온 헬기 사업을 언급하면서 "방산 비리는 단순한 비리를 넘어 안보에 구멍을 뚫는 이적 행위"라며 "방산 비리 척결은 보수·진보의 문제가 아닌 애국과 비애국의 미룰 수 없는 적폐 청산 과제"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민정수석실 주관으로 방산 비리 근절 관계 기관 협의회를 만들어 제도 개선 대책을 마련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