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추경안·정부조직법 심사 참여 결정]

[바른정당, 추경안 심사 재개 결정…]

야(野) 3당은 13일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사퇴를 수용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송영무 국방부장관 후보자를 임명한 것과 관련해선 "14일 의원총회 등을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야 3당은 그동안 송·조 후보자의 지명 철회를 요구하며 추경안 심사를 보이콧해왔다. 문 대통령이 두 사람 중 한 명에 대해서만 요구를 받아들인 것에 반발하면서도 "100% 만족스럽진 않지만 추경안 심사 보이콧을 계속 이어갈 명분은 약해졌다"는 분위기도 상당했다.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 지도부는 이날 "송·조 두 사람 모두 부적격이란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유감을 나타냈다. 다만 3당 모두 추경안 심사 보이콧을 계속 이어갈지에 대해선 "당내 논의를 거쳐 결정하겠다"며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와 관련, 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이날 "문 대통령이 공약한 '5대 공직 배제 원칙'을 지키지 못한 데 대한 사과가 중요하지 한 사람은 임명하고 한 사람은 임명하지 않은 것은 중요한 게 아니다"고 했다.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도 "송 장관도 사퇴했어야 한다는 입장"이라면서도 "의사일정 복귀 문제는 지도부 회의에서 결정하겠다"고 했다. 의원들의 의견을 파악해 최종 결정하겠다는 뜻이지만 추경안 심사 참여 여지를 열어둔 셈이다.

이와 관련, 야당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야당의 요구를 절반 정도 수용한 데다 송 장관 임명을 되돌릴 방법도 없으니 현실적으로도 추경과 연계하기엔 어려워진 상황 아니냐"고 했다. 실제 야 3당 지도부에선 그동안 내부적으로 '송·조 후보자 가운데 1명을 사퇴시키는 선에서 타협을 모색하자'는 기류가 상당했다. 또 국민의당은 대통령 아들 관련 제보 조작 사건의 뒷수습 문제에, 장관 임명과 추경안 심사 보이콧 연계를 주도해온 한국당에선 누가 됐든 1명이라도 낙마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는 등 야 3당의 셈법도 달랐다. 이 때문에 송·조 두 사람 모두 음주운전이 문제가 됐지만 음주운전 은폐·무마 의혹까지 제기된 송 장관이 최종 '구제'됐다는 점에서 "야 3당이 각 당의 이해관계에 따라 여당과 뒷거래를 한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한편 야 3당은 문 대통령의 여야 지도부 초청 G20 결과 보고회 참석 문제에 대해 "청와대의 요청이 들어오면 검토해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