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習近平·사진) 중국 국가주석은 1일 홍콩 반환 20주년을 기념하는 자리에서 "국가의 주권·안전을 해치는 활동과 중앙 권력·홍콩기본법(헌법) 권위에 대한 도전, 홍콩을 이용해 중국 본토를 침투·파괴하려는 행위는 모두 레드라인(금지선)을 넘는 것"이라며 "절대 용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시 주석의 홍콩 관련 발언은 장쩌민(江澤民)·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은 입에 올린 적이 없는 고강도 경고로, 중국 정부가 앞으로 홍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입법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시 주석은 이날 홍콩섬 완차이(灣仔)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캐리 람(林鄭月娥·60) 신임 행정장관의 취임식 직후 가진 20주년 기념 연설에서 이같이 말하고 "홍콩이 국가 주권·안전·발전 이익을 지키기 위해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또 "홍콩 주민은 역사상 어떠한 시기보다 광범위한 민주적 권리와 자유를 누리고 있다"고 강조한 뒤 "그러나 모든 것을 정치화하거나 의도적으로 갈등을 조장하는 것은 홍콩의 발전을 저해하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와 중국 헌법을 이해시키는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홍콩 독립 움직임에 대한 시 주석의 경고는 전임자(장쩌민·후진타오)들에 비해 훨씬 강경한 것"이라며 "이번 경고가 캐리 람 정부에 국가안전법과 국민교육법 도입이라는 두 가지 숙제를 안겼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2003년 반중(反中) 시위 등을 제한·처벌하는 국가안전법(일종의 보안법)을 도입하려 했지만, 50만명이 참가한 대규모 반대 시위가 일어나는 등 반발이 거세자 이를 중단한 바 있다. 2012년에는 홍콩에 중국식 '국민 교육'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가 홍콩 청년들이 '세뇌 교육'이라며 들고 일어나는 바람에 역시 무산됐다.
미국의 뉴욕타임스(NYT)는 홍콩대 윌리 람 교수를 인용해 "중국의 국가 지도자가 홍콩을 겨냥해 '레드라인'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국가안전법 제정 작업이 다시 추진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