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의원 18명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오는 29~30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사드 배치를 촉진하는 해법을 찾으라고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 사드 배치 연기 논란 등으로 한·미 동맹 약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미 의원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을 빌려 사실상 문 대통령에게 자신들의 요구를 전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코리 가드너 상원 외교위 동아태소위원장(공화당)은 지난 23일(현지 시각) 밥 메넨데스 상원의원(민주당) 등 여야 의원 18명이 이런 내용의 공개서한을 보냈다고 홈페이지에서 밝혔다. 서한에는 공화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섰던 테드 크루즈와 마코 루비오 등 거물급 의원들도 동참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한·미 동맹은 피로 맺어진 동맹으로 한국인이 오늘날 누리는 자유와 번영을 위해 미군 3만6574명이 목숨을 바쳤다"며 "지금도 그 자유를 보호하고 동맹에 대한 외부 공격을 막기 위해 미군 2만8500명이 한국에 배치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은 완전한 사드 배치를 방해하는 절차적 검토 작업을 촉진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사드 배치는 동맹의 결정이며 주한 미군과 한국인을 보호하는 조치'라는 것을 다시 강조해주길 요청한다"고 했다.
의원들은 또 "한·미는 북한 위협을 억지하는 군사 훈련을 이어가야 한다"고 했다.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 등이 언급한 '한·미 군사훈련 축소'에 반대 의견을 밝힌 것이다. 대북 제재에 대해선 "미국의 새 대북 정책인 '완전한 압박'은 한국과 완전히 협력해야 효과적"이라고 했다. 이는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을 부정적으로 본다는 의미다.
한편 문 대통령은 26일 청와대에서 전직 주미 대사들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한·미 정상회담에서) 구체적 사안에 대한 성과 도출에 연연하지 않고, 트럼프 대통령과 우애와 신뢰를 쌓을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한·미 동맹 강화 기반을 튼튼히 하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사드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사드 관련 발언을 할 경우에는 공감대를 표시하는 수준에서 답변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입력 2017.06.27. 03:15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