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은 검찰 조사에서 대기업들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774억원을 출연하도록 강요했다는 혐의와 관련, "제가 대가로 돈을 받았다면 몰래 받는 것이 상식에 맞지, 제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재단에 돈을 내라고 할 이유가 없다"고 진술했다.
박 전 대통령은 "2015년 10월쯤 재단 설립을 위해 청와대에서 매일 회의가 열렸다는 것을 사건이 터진 후에 (언론) 보도를 보고 알았다. 이 사실을 알았다면 절대 말렸을 것"이라며 "안종범 수석이 그렇게 기를 쓰고 (재단을) 만드는 게 충성이라고 생각했는지 모르지만, 개인적으로 매우 유감"이라고 했다. 그는 또 "(2015년에) 단 며칠 사이에 급하게 재단을 설립해야 한다고 (전경련 등을) 독촉했다면 재단에 출연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압박감을 느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도 했다. 박 전 대통령은 "저는 역대 정권에서 일부 기업이 정부에 의해서 공중분해되는 사례들을 보면서 국회의원 시절부터 기업에 부담을 주면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며 "기업들의 팔을 비틀어 돈을 받으려 한 적이 없다"고 했다.
박 전 대통령은 자신이 2015년 7월 대기업 회장들과 독대한 이후 안 전 수석에게 '기업당 30억원 정도 후원금을 내기로 했다'고 말했다는 안 전 수석의 진술에 대해 "제가 2015년 7월에 안 전 수석에게 재단 설립을 지시했다면 상당히 중요한 지시를 한 것인데, 그때 바로 진행이 안 되고 10월에 재단이 만들어진 것만 봐도 제가 7월에 그런 지시를 하지 않았다는 게 입증되는 것 아닌가"라고도 했다.
박 전 대통령은 '퇴임 후 운영할 목적으로 미르·K스포츠재단을 설립한 것 아니냐'는 질문엔 "굳이 제가 재단씩이나 운영하면서 노후나 퇴임 후를 대비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제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기업들이 수사를 받는 등 고초를 겪는 것에 대해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