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정당 대선 후보들의 복지 공약 마련은 캠프 정책 담당 전·현직 의원과 자문 교수들이 주도하고 있다.
문재인 민주당 후보 측 복지 공약은 김용익 민주연구원장과 김연명 중앙대 교수 등이 주축이 돼 만들었다. 김 원장은 서울대 의대 교수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 청와대 사회정책수석과 19대 의원을 지냈다. 조흥식 서울대 교수와 백선희 서울신학대 교수도 최근 문 후보가 발표한 국공립 어린이집·유치원 확대, 출산수당 150만원 지급 공약 마련에 참여했다. 홍종학 정책본부 부본부장은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성남시장의 대표 공약인 '청년수당' '기본 소득 보장'의 취지를 살린 복지 공약도 검토 중"이라고 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의 복지 공약은 당이 중심이 돼 만들었다. 당 정책위의장 겸 선대위 공약위원장인 이현재 의원이 총괄하고, 당 정책개발단의 이명수·김상훈 의원이 실무를 맡았다. 세 사람 모두 행정고시를 거친 관료 출신이다. 홍 후보 측 관계자는 "서민에게 복지를 집중해 성장의 기회를 마련해줘야 한다는 게 홍 후보의 복지 기조"라며 "당 정책개발단에서 연구·축적해온 복지 정책에 자문 교수들의 아이디어를 가미했다"고 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측에선 김원종 당 정책위 부위원장이 역할을 하고 있다. 김 부위원장은 박근혜 정부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실 선임 행정관과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관 등을 지낸 관료 출신이다. 김안나 대구가톨릭대 교수와 이상구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운영위원장도 안 후보의 기초연금·아동수당 확대 정책 마련에 참여했다. 김원종 부위원장은 "복지 정책의 빈틈을 채워 기초생활을 보장해주는 게 안 후보의 복지 정책 기조"라고 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측은 KDI(한국개발연구원) 연구원 출신인 후보 본인과 대선 캠프에 참여한 전·현직 정책통 의원들이 주축이 돼 복지 공약을 마련했다. 유 후보의 '1호' 복지 공약인 '아이 키우고 싶은 나라' 정책은 유 후보와 민현주 전 의원(경기대 교수)이 직접 만들었다. 당 사무총장 김세연 의원과 이종훈 전 의원(명지대 교수)은 국민연금, 기초연금 관련 공약 마련에 참여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의 복지 공약 마련에는 당 관계자들과 김진석 서울여대 교수, 임정기 용인대 교수, 주은선 경기대 교수 등이 참여하고 있다. 정의당 관계자는 "심 후보의 복지 정책 기조는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통한 복지 안정과 사회적 약자·소수자 배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