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가 안보 이슈를 본선 초반 승부수로 띄웠다.
북한의 6차 핵실험 임박 징후와 이에 대응한 미국의 대북 선제타격설에 의해 한반도 위기론이 확산된 가운데 박빙의 대결을 펼치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보다 안보 분야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는 안보분야에 민감한 보수층의 지지를 확보하려는 전략이다. 최근 안 후보의 급등한 지지율이 보수층의 이동에 기인한다는 다수의 여론 조사 결과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는 이날 5당 대표 및 대선후보가 참여하는 '5+5' 긴급안보비상회의 개최를 제안했다. 안보 위기에 초당적 협력으로 국민을 안심시키자는 취지와 안보 이슈를 선점하겠다는 문 후보의 의도가 엿보인다.
문 후보 측 관계자는 "중도 확장을 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안보에서는 문 후보가 확실한 강점이 있다"며 "한반도 상황과 맞물려 안보 메시지를 강화할 방침이다"라고 전했다.
문 후보는 전날 북한의 존립을 언급하는 동시에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한국 동의 없는 선제타격 불가론을 강조하며 "모든 것을 걸고 한반도에서의 전쟁을 막겠다"고 선언했다.
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계획)배치와 관련해서는 문 후보는 이날 "북한이 핵 도발을 계속하고 고도화하면 불가피할 수 있다"고 말하며 "사드배치 여부를 차기 정부로 넘기자"라는 기존의 입장에서 북한 태도에 따라 강행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그러면서도 문 후보 측은 '안보 말 바꾸기' 논란을 의식해 '차기 정부에 사드 문제를 넘겨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