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입국 외국인들의 비자를 심사할 때 휴대전화와 소셜 미디어 비밀번호를 제출받아 휴대전화에 저장된 연락처와 온라인 활동 내역까지 파악하는 '극단적 심사(extreme vetting)'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이 같은 비자 심사 정책이 확정되면 미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입국을 일시 제한한 중동·아프리카의 이슬람 국가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38개 비자 면제 협정 체결국까지 적용할 방침이다.

또 비자 신청자의 금융 기록 제출을 요구하고, 이념 성향과 관련된 질문도 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도 지난달 전 세계 미국 공관에 비자 신청자의 외국 방문 기록, 15년간 근로 기록, 전화번호와 이메일·소셜 미디어 정보까지 확인하도록 지시하는 공문을 보냈다고 WSJ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작년 대선 당시 '테러 없는 안전한 미국'을 만들겠다며 입국 심사 강화 방침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존 켈리 국토안보부 장관도 지난 2월 의회 청문회에서 "(입국 희망자들이) 충분한 정보를 제출하지 않는다면 미국에 들어올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정책이 언제 확정돼 시행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WSJ는 "국내에서는 사생활 등 기본권 침해 논란으로 법원과 의회, 시민단체들이 반대하고, 외국에서는 미국인들의 자국 입국을 어렵게 하는 보복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국내외에서 난관에 부딪히게 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