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19대 대선 후보로 확정된 문재인(64) 전 당 대표의 삶에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빼놓을 수 없다. 인권변호사였던 젊은 시절에도, ‘왕수석’으로 통하던 청와대에서도 그는 노 전 대통령 곁에 있었다. 문 후보가 본격 정치판에 뛰어든 계기도 노 전 대통령 서거 때 상주역을 맡아 마지막 곁을 지킨 것에서 시작됐다. 이날 대선 후보로 선출될 때까지 13주 연속 지지율 1위를 고수해 ‘대세’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지만 그가 ‘노무현’이라는 벽을 뛰어넘는 통합적 비전과 가치를 현실화할 수 있는가가 앞으로 그의 정치적 운명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는 1953년 경남 거제에서 아버지 문용형씨와 어머니 강한옥씨 사이의 2남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함경도 흥남에서 시청 농업과장을 하던 아버지는 6·25 전쟁 ‘흥남 철수’ 때 월남했다. 문 후보 가족은 문 후보가 초등학교에 입학할 무렵 부산 영도로 이사했다. 하지만 살림이 넉넉하지 못해 문 후보는 어린 시절 연탄배달을 하고, 때로는 성당의 식사 배급으로 끼니를 해결해야 했다.

문 후보 부친은 부산의 양말 공장에서 양말을 사 전남 판매상들에게 팔았으나 사기를 당하고 빚만 잔뜩 졌다고 한다. 문 후보는 자서전 ‘운명’에서 “그것으로 아버지는 무너졌고 다시 일어서지 못했다. 아버지는 경제적으로 무능했고 이후 가난에서 헤어나지 못했다”고 했다.

문 후보는 지역 명문(名門)인 경남중·고를 거쳐 1972년 경희대 법학과에 진학했다. 중·고교 때 별명은 ‘문제아’였다. 이름 때문에 지어진 별명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술·담배를 입에 대고 잦은 정학을 받은 ‘문제 학생’이기도 했다. 문 후보는 자서전에서 “(지역 명문이었던 경남중·고의) 빈부 격차가 확연한 교내 분위기에서 처음으로 세상의 불공평함과 위화감을 피부로 느꼈다”고 ‘반항’ 이유를 밝혔다.

그는 경희대 법대 재학 시절엔 학내 유신 반대 시위를 이끌었다. 1975년 4월에는 직선제 총학생회를 출범시키고 학생회 총무부장을 맡았다. 1975년 8월 강제징집돼 입대했는데 특전사령부 예하 제1공수 특전여단 제3대대에 배치됐다. 당시 여단장은 전두환 전 대통령, 대대장은 장세동 전 안기부장이었다. 6주간의 특수전 훈련을 마칠 때 최우수 표창을 받았는데, 이때 전두환 여단장으로부터 표창을 받기도 했다.

문 후보는 1978년 군을 제대한 뒤 사법시험을 준비해 이듬해 1차에 합격했다. 그러나 1979년 부마항쟁과 1980년 ‘서울의 봄’을 거치는 동안 계엄령 위반 등의 혐의로 또 다시 구속됐다. 2차 시험 합격소식을 들은 장소도 유치장이었다.

문 후보는 사법연수원을 차석으로 수료했지만 시위 전력 탓에 원하던 판사의 길을 걷지 못했다. 변호사 길을 가기로 작정하고 부산으로 내려가 만난 사람이 노무현 변호사였다. 첫 만남에 의기투합한 두 사람은 동업을 결정했고, ‘깨끗한 변호사’를 해보자며 당시 관행이었던 사건 알선 브로커를 끊고 판·검사 접대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문 후보는 자서전 ‘운명’에 “각종 인권, 시국, 노동 사건을 기꺼이 맡다 보니 자연스레 우리는 인권변호사의 길을 걷게 됐다”고 썼다.

문 후보는 노 전 대통령이 정치에 나서자 그의 부산 조직을 뒤에서 도왔지만 본인은 정치권과 거리를 뒀다. 그러다 노 전 대통령이 2002년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로 결정된 뒤 부산선대위 본부장 자리를 맡아 노 전 대통령 당선을 도왔다.

노 전 대통령은 집권하자 문 후보에게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 대통령 비서실장을 잇따라 맡기며 가장 가까운 거리에 뒀다. 정치권은 이런 문 후보를 ‘왕수석’이라 불렀고, ‘친노(親盧)의 핵심 인사’로 분류했다. 문 후보는 노 전 대통령이 탄핵 소추를 당했을 때는 변호사 자격으로 헌재에서 노 전 대통령을 변론했다.

문 후보는 노 전 대통령이 서거한 뒤에는 재단법인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맡아 친노들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그가 본격적으로 정치인으로 변신한 건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부산 사상구에 출마, 당선되면서부터이다. 그는 그 해 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 당선돼 제18대 대선 후보로 나섰지만 박근혜 한나라당 후보에게 졌다.

문 전 대표는 2015년 초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의 당 대표로 선출됐다. 그가 당 대표직을 수행한 기간은 10개월 가량이다. 그 기간 재·보선 패배, 안철수 전 대표를 비롯한 비노·비문 그룹의 집단 탈당 등이 이어지며 정치적 위기를 맞기도 했다. 안 전 대표 등은 ‘친문(親文·친문재인) 패권주의’를 탈당의 명분으로 내세웠다.

문 후보는 지난 총선 때 손혜원·표창원·박주민·양향자·김병관 등 다양한 분야의 당밖 전문가 그룹을 적극 영입했다. 특히 지난 대선때 박근혜 캠프의 경제멘토로 불렸던 김종인 전 의원을 비대위원장을 영입, 중도층의 지지를 이끌어내는데 성공하며 당의 총선 승리를 일궈내고 자신도 정치적 위기에서 벗어났다. 이때부터 ‘문재인 대세론’이 형성되기 시작해 최순실 사태 등을 겪으면서 한층 공고해졌다. 다만, 지난 총선때 ‘민주당의 텃밭’이자 ‘야당의 심장부’라 할 수 있는 호남에서 국민의당에 참패한 것은 두고두고 그에게 정치적 부담이 되고 있다. 어쩌면 이 부분이 그의 ‘안보관 논란’과 함께 앞으로 대선 행로에 가장 큰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