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프랑스 등을 주축으로 한 유럽연합(EU)과 EU 탈퇴를 통보한 영국이 본격적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협상을 시작하기도 전에 날카롭게 대립하기 시작했다.

도날트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31일(현지 시각) '선(先) 탈퇴 협상, 후(後) EU·영국 관계 설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브렉시트 협상 가이드라인 초안을 발표했다. 이 초안은 오는 29일 EU 정상회의에서 최종 확정된다. 초안은 협상이 시작되면 우선 '이혼 합의금(영국이 EU를 탈퇴하면서 내야 할 돈)' 납입과 영국 내 EU 시민에 대한 권리 보장 등에 합의한 뒤 그 결과가 만족스럽다고 판단했을 때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논의하는 '단계적 협상 전략'을 담고 있다.

이런 EU 입장은 모든 안건을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고 한꺼번에 타결하기를 원하는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의 제안을 정면 거부한 것이다. 메이 총리는 "EU 탈퇴 조건과 함께 양측의 미래 파트너십 관계에 대한 합의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영국에 살고 있는 EU 시민들의 권리 문제와 향후 EU 시민들의 유입 통제, FTA 체결, 이혼 합의금 납입, 안보와 반(反)테러리즘 협력 등 EU와 결별하면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한꺼번에 논의하자는 것이다.

EU와 영국 측 주장이 정면충돌하면서 오는 5월 프랑스 대선 이후 본격화될 브렉시트 협상이 초반부터 난항을 겪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협상은 벌써 교착 상태로 달려가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