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은 합니다만…."
울리 슈틸리케 감독의 거취를 둘러싼 대한축구협회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러시아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중국과의 6차전(0대1 패)에 이어 시리아와의 7차전에서도 '반(反) 슈틸리케' 정서가 들끓기 때문이다.
슈틸리케 감독은 시리아전 1대0 승리로 조 2위를 지켰지만 이른 선취골 이후 불안했던 경기내용과 미흡한 부분 전술 등으로 비판 여론을 잠재우지 못했다.
비판 여론을 의식해 슈틸리케 감독이 자진 사퇴를 결심하지 않는 이상 결정권을 축구협회가 쥐어야 하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축구협회의 입장을 살펴본 결과 감독 교체를 완전히 배제하지 않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가장 큰 걸림돌은 '대안 부재론'이다. 복수의 협회 관계자는 "시기적으로도 그렇고…, 마땅히 대안을 찾기도 힘들다"고 전했다.
축구협회가 감독 교체를 염두에 둔 이른바 '플랜B'를 검토한 적이 있다. 작년 11월 우즈베키스탄과의 5차전을 앞두고 있을 때다. 당시 슈틸리케 감독은 시리아와 2차전 0대0 졸전 이후 이란과의 4차전 '유효슈팅 0개' 패배(0대1)에 이어 설화에 휩싸이며 맹비난을 받았다. 우즈벡전까지 패배하는 최악의 상황으로 조 2위로 올라서지 못하면 중대 결정을 하려고 했지만 기사회생하면서 '경질론'이 힘을 잃었다.
이후 4개월이 흘렀다. 그 때와 달리 조 2위를 지키고 있다는 현실이 존재한다. 협회의 딜레마는 그 만큼 커졌다.
새 감독을 모셔온다고 가정하면 내년 러시아월드컵까지 1년 정도 단기계약을 해야 한다. 러시아에서의 성적이 어떻게 날지 모르기 때문에 2022년 월드컵까지 장기 보장을 할 수 없다. 여기에 슈틸리케 감독의 연봉은 20억원에 약간 못미치는 수준이라고 한다. 지난 중국전 때 무려 242억원을 받는 마르첼로 리피 중국 감독과 화제성으로 비교되기도 했다.
축구팬들의 눈높이까지 고려하면 이런 연봉 수준과 계약기간에 'OK'할 외국인 감독을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최종예선이 한창인 상황에서 새 감독 부임 이후 선수파악, 선수단 재정비 등에 걸리는 시간도 걸림돌이다.
정몽규 회장의 인재경영 스타일도 무시할 수 없다. 정치인이기도 했던 전임 정몽준 회장은 '여론'에도 비중을 두는 반면 정몽규 회장은 한 번 믿고 쓴 사람은 쉽게 버리지 않는 스타일이라고 한다.
정 회장이 슈틸리케의 거취에 대한 발언을 한 사례에서도 이런 스타일이 잘 나타났다. 작년 이란전 이후에는 "서양과 우리의 표현방식, 문화적인 차이에서 오해가 비롯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지금 상황에서는 성원해주는 것이 한국축구를 위해 나은 길이다"라고 했고, 최근 중국전 이후에는 "지금은 감독의 거취를 논할 시기가 아닌 것 같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다만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일화가 있다. 2014년 브라질월드컵에서 홍명보 당시 감독이 조별리그에서 실패하며 교체론이 달아올랐을 때다. 정 회장은 월드컵 결과를 가지고 홍 감독을 교체할 생각은 없었다. 그러나 선수단 회식 동영상 논란이 불거지면서 더 이상 걷잡을 수 없는 여론 악화 상황이 되자 교체를 결정했다고 한다.
회식 동영상 논란이 '최악의 상황'이었던 것이다. 이런 기준으로 보자면 이번 시리아전 패배가 '최악의 상황'이었지만 졸전 끝에 승리로 인해 여론이 날로 악화되는 것 역시 '최악의 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 관계자는 "이왕 사람을 썼으면 신뢰하는 스타일과 현재 A대표팀의 문제는 다르게 봐야 한다. 여러모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협회 일각에서는 "슈틸리케로는 안 될 것 같다"는 걱정도 흘러나온다.
이제 축구협회에 안겨진 숙제는 명분과 타이밍이다. 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
▲ 일본 명품골프 풀세트, 50%할인, 30세트 한정판매
▲ 실종된 男, 구렁이 몸속에서 숨진 채 발견
▲ 이종범X양준혁 "연봉만큼은 양보 없다"
▲ 故 김성재 동생 "형·아내 모두 사망" 눈물
▲ 인공 여성생식기 '에바타'…男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