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史) 스타 강사 설민석씨는 3·1운동을 촉발한 민족대표 33인을 폄훼했다는 논란과 관련, “제 의도와는 다르게 사건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유족분들께 상처가 될 만한 지나친 표현이 있었다는 꾸지람은 달게 받겠다”며 “저 때문에 상처받으신 분들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설씨는 16일 오후 늦게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저는 단지 당시에 목숨을 걸고 일본 제국주의와 싸운 수많은 학생들의 노력과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이름 모를 대중들의 숭고한 죽음을 널리 알리고 싶었을 뿐”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앞서 SBS는 민족대표 33인의 후손들이 지난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이 서울 광화문 인근 고급 요릿집인 ‘태화관’에 모여 기미독립선언문을 낭독한 것에 대해 설씨가 최근 강연에서 한 발언을 문제 삼아 설씨 사무실에 찾아가 정식 항의했다고 전날 보도했다.

설씨는 강연에서 “(3월 1일) 당일날 민족대표들은 현장(종로 탑골공원)에 나가지 않고 광화문에 있었던 우리나라 최초 룸살롱인 태화관에 가 낮술을 먹으며 기미독립 선언을 외쳤다”면서 “그 집(태화관) 마담 주옥경하고 (독립선언을 주도한) 손병희랑 사귀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손병희의 셋째부인인 주옥경을 술집 종업원으로 표현한 것이다.

설씨는 민족대표들이 태화관에 간 이유에 대해 “마담이 디씨(디스카운트·할인)해 준다고, 안주 하나 더 준다고 했는지는 모르겠는데…”라며 독립선언보다는 술판을 벌이는 데 목적이 있었다는 듯한 발언도 했다.

설씨는 이에 대해 “민족대표 33인이 3·1 운동 당일에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자발적으로 일본 경무 총감부에게 연락하여 투옥된 점과 탑골공원에서의 만세 운동이라는 역사의 중요한 현장에 있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그 자리에서 만세 운동을 이끈 것은 학생들과 일반 대중이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계의 평가가 있으며 민족대표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 역시 존재한다”고 했다. 이어 “저는 학계의 비판적 견해를 수용해 도서 및 강연에 반영했으며, 그 날, 그 장소, 그 현장에서의 민족대표 33인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설씨는 “그러나 그것은 그 날 그 사건에 대한 견해일 뿐이지, 민족대표 33인을 폄훼하려는 의도는 없다”며 “또한 그 날의 사건만으로 민족대표의 다른 업적들이 희석되거나 가려져서도 안 되며, 그분들을 추모해 의미 있는 활동을 하고 계신 유족 여러분들께 상처가 되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