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삼성동 정치' 조짐에… 非朴 나경원 "黨 해치는 행위 징계해야"
최경환 "인사는 드리는 게 도리", 홍준표 "이젠 박 前대통령 잊어야"

자유한국당에선 1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이 정당했는지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최근 논란이 된 '삼성동 정치'를 두고서는 친박계와 비박계가 서로 다른 말들을 했다. 중재 역할을 해야 할 당 지도부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영입해 대선으로 직행할 생각이지만 이것도 삐걱대고 있다.

친박계 최경환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탄핵을 당한 대통령이라고 해서 삼성동 자택에 고립무원으로 살아가도록 내버려두는 것은 너무나 가혹한 처사'라며 '인사 정도는 하러 가는 게 인간적 도리'라고 했다. 반면 같은 당 나경원 의원은 "지금 일부 친박의 행위는 명백한 해당 행위"라며 "당 지도부가 명확히 징계해야 한다"고 했다.

홍준표 경남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더 이상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매달리면 이번 대선은 없다'며 '이제 박 전 대통령은 머릿속에서 지워야 할 때'라고 했다. 반면 친박계 김태흠 의원은 "문재인 전 대표, 안희정 지사는 노무현 대통령이 죽었을 때 자기들이 죽든지 이미 폐족이 돼야 했을 대상들이 나라를 이끌고 가겠다는 생각으로 대선 주자에 나왔다"며 "우리 당은 박 전 대통령 색깔을 빼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고 그 색깔을 유지하기 위해 덧칠할 필요도 없다"고 했다.

이달 말까지 대선 후보를 선출하려는 지도부 계획도 예기치 못한 상황에 부딪혔다. 이날 홍준표 경남지사 측은 "오는 18일 대구 서문시장에서 출마 선언을 할 것"이라고 공지했다. 이는 앞서 한국당 지도부가 '예비 경선(컷오프)'을 진행키로 한 17일 이후라는 점에서 논란을 낳고 있다. 당 지도부는 경선 룰을 정하면서 예비 경선 이후에도 비대위 의결을 통해 후보 추가 등록이 가능하다고 발표했었다. 황 권한대행 영입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하지만 군소 주자들이 "불공평한 경선 룰 때문에 불이익을 보고 있다"고 반발했다.

[국민의당]

黨지도부 내달 5일 경선 결정에… 안철수·손학규 또 충돌
安 "수용 못해" 한때 일정 중단, 孫 "이해 불가… 黨 방침 따르라"

국민의당은 14일에도 당의 대선 후보를 뽑는 경선 일정을 확정하지 못했다. 경선 방식은 합의했지만, 최종 후보 선출 날짜를 놓고 안철수 후보와 손학규 후보가 다른 주장을 하면서 협상이 파행했다.

안 후보는 민주당 후보 선출일인 4월 3일보다 하루 이른 '2일'을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보다 늦게 하면 흥행 효과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반면 손 후보는 "더 많은 국민의 참여를 위해"라며 '9일'을 주장한다. 그러나 안 후보 측에선 "손 후보가 이른바 제3 지대 참여 가능성을 열어두려고 최대한 시간을 벌려는 것"이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당 지도부는 지난 13일 "두 후보 측 이견을 조율해 4월 5일로 후보 선출일을 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안 후보는 "수용할 수 없다"며 공식 일정을 잠시 중단하기도 했다. 협상 파행에 책임을 지고 캠프 관계자들도 일괄 사표를 냈다.

안 후보 측은 "현장 투표 80%와 여론조사 20%로 진행되는 경선 규칙도 우리가 많이 양보한 것"이라며 "더는 양보하지 않겠다"고 했다. 안 후보 지지자들도 서울 여의도 당사를 방문해 항의 농성을 벌였다.

손 후보도 이날 일자리 공약을 발표한 뒤 기자들과 만나 "나도 아주 불만이 크다"며 "그런데도 당 방침을 따를 생각인데 안 후보가 솔직히 이해가 안 간다"고 했다. 박지원 대표는 "안 후보가 많이 양보한 건 사실이지만 대승적 차원에서 수용해달라"고 했다.

[바른정당]

김무성 비대위원장 추대 움직임에… 유승민系 집단 반발
金측 "중량감 있는 金이 적격", 劉측 "黨 패권 장악하려는 것"

바른정당은 비대위원장 선임 문제와 경선 일정을 늦추는 문제로 내홍(內訌)을 겪고 있다. 당내 두 파벌인 김무성계와 유승민계가 주도권 다툼을 하는 양상이다. 갈등은 지난 13일 의원총회에서 폭발했다. 김무성 의원과 가까운 김성태·김학용 의원 등이 비대위원장으로 김 의원을 추대해야 한다고 하자 대선 주자인 유승민 의원 측 김세연·박인숙 의원 등이 "안 된다"고 했다. 이 과정에 인신공격성 막말과 고성이 오갔다.

복수 의원에 따르면 한 김무성계 의원은 유 의원을 겨냥해 "내가 나가도 1%는 나오겠다"고 했고, 이에 한 유승민계 의원은 "그럼 김무성이 나오면 잘 나오냐"고 맞섰다. 몇몇 의원 간에 "금수저가…" "사과하라" 등 고성과 삿대질도 오갔다고 한다. 갈등이 지속되자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는 주호영 원내대표는 "여기서 (당 업무를) 그만두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딨겠느냐. 자제들 하라"고 했다고 한다.

김무성계 의원들은 "당에서 가장 경쟁력 있고 중량감 있는 김 의원이 비대위원장을 맡는 게 맞지 않느냐"며 "유승민계는 대안도 없으면서 과도하게 견제한다"고 했다. 한 의원은 "유 의원 측은 일단 후보가 되고 보자는 생각만 하고 있다"고 했다. 반면 유승민계 의원들은 "곧 선대위 체제가 되는데 2주짜리 비대위원장이 왜 필요하냐"며 "김무성계 의원들이 당 패권을 장악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한 의원은 "김무성계는 도와주지는 않으면서 늘 낮은 지지율 탓만 한다"고 했다.

김무성계는 또 정운찬 전 총리 등 새로운 대선 후보 영입을 위해 당초 오는 28일 이전으로 잡아둔 대선 후보 선출 일정을 늦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유승민계는 "빨리 후보를 선출해야 연대도 할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