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6일 오전 7시36분 평북 동창리 일대에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4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고 합동 참모본부가 밝혔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지난달 12일 북극성 2형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을 발사한 지 22일 만이다.
노재천 합참 공보실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이 동해상으로 미사일 4발을 발사했고, 평균 비행 거리는 1000여 km, 최고 고도는 260여㎞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노 실장은 또 “발사 각도는 75~93도로 보인다”며 “미사일 발사 사이에는 약간의 시차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이와 관련,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4발 중 3발이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낙하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종류 분석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발사 장소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던 동창리 발사장인 점으로 미뤄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KN-08이나 KN-14를 발사했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아무리 고각 발사를 했더라도 비행거리 1000㎞는 ICBM으로 보기엔 짧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노 실장도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ICBM일 가능성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보이나 좀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 때문에 지난달 발사했던 '북극성 2형'과 스커드-ER, 노동미사일을 섞어서 발사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이 작년에 노동과 스커드ER 미사일을 발사할 때 비슷한 시간대에 발사한 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지난 1월 북극성 2형 2기를 제작해 그중 1발을 2월 12일 발사했고, 나머지 1발이 남은 상황이다. 당시 북극성 2형 1발은 '고각'으로 발사되어 500㎞를 비행했다.
또한 북한이 최근 발사 예고한 신형 미사일일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3일 “지상 대 지상 중장거리 전략탄도탄 북극성-2형만이 아닌 보다 새형의 주체적 전략무기들이 대지를 박차고 만리창공으로 더 기운차게 날아오를 것”이라며 새로운 미사일 실험을 예고한 바 있다.
이번 미사일 발사는 역대 최대규모로 진행 중인 한미 연합훈련인 독수리(Foal Eagle·FE) 훈련에 대한 반발로 도발을 시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그동안 연일 한미 연합훈련에 강도 높은 비난을 쏟아낸 바 있다.
북한은 지난 2일 총참모부 대변인 담화를 통해 “미제와 남조선괴뢰들이 면전에서 북침 핵전쟁 연습을 또다시 강행해 나선 이상 우리 군대는 선포한대로 초강경 대응조치로 맞서나갈 것”이라고 위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