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9월 27일 새벽 3시 한국 해병대 2대대 6중대 1소대장 박정모 소위와 소대원들은 대포 연기 자욱한 세종로를 지나 중앙청으로 향했다. 인천상륙작전이 있은 지 열이틀 뒤였다. 두 시간 남짓 북한군 잔당과 치열한 교전이 벌어졌다. 동이 틀 무렵 대원들이 중앙청 안으로 들어갔다. 옥탑으로 가는 사다리가 폭격으로 끊겼다. 대원들은 혁대를 이어 만든 밧줄로 옥상에 올라가 태극기를 동여맸다. 석 달 만에 서울 하늘에 휘날리는 대형 태극기는 많은 시민들에게 수복(收復)된 대한민국 그 자체였다.
▶1882년 수신사 박영효 일행이 배 타고 일본 고베(神戶)에 도착해 숙소 건물 위에 태극 사괘 도안이 그려진 기(旗)를 게양했다. 태극기의 유래다. 이듬해 고종은 태극기를 국기로 정했다. 이후 3·1운동, 8·15광복, 한국전쟁, 4·19혁명… 현대사의 굽이굽이를 지나올 때마다 태극기는 항상 민족과 함께했다.
▶한동안 우리 국기는 너무 엄숙했다. 미국의 성조기, 영국의 유니언 잭, 프랑스의 삼색기가 머그잔, 볼펜, 티셔츠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스며들었던 것에 비해 우리는 국기를 국경일 때 게양하는 것 정도로 기억했다. 2002년 월드컵 이후 달라졌다. 태극기를 어깨에 두르고, 얼굴에 태극 문양 페인팅을 했다. 태극기는 친근한 패션 소재가 됐다.
▶오늘 삼일절을 앞두고 '태극기 달기 운동'을 펼치던 지자체들이 고민에 빠졌다고 한다. 태극기 퍼레이드를 펼치는 것이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태극기 집회'로 오해받을까 봐 그런다는 것이다. 한 광역시는 태극기 나눠주기 행사를 취소했고, 서울의 어떤 구청은 행사장에 국민의례에 쓸 태극기 외에는 태극기를 추가로 비치하지 않기로 했다. 촛불집회 측은 오늘 광화문 광장 집회에 세월호를 상징하는 노란 리본을 단 태극기를 들고 나오겠다고 했다. 광복회는 그제 성명을 내고 "태극기에 리본을 매달고 시위에 참가하거나(탄핵 찬성) 태극기 봉을 휘두르고 재판정에서 태극기를 펼쳐드는 행동(탄핵 반대)등은 태극기 신성함을 해치는 행위"라고 밝혔다.
▶해외에서 문득 눈에 들어온 태극기, 땀에 젖은 국가대표 유니폼 속 태극기를 보면 누구나 뭉클함을 느낀다. 태극기는 어느 한쪽의 상징이 아니라 온 국민의 것이다. 탄핵 정국으로 나라가 두 동강 나더니 이젠 태극기까지 '이 태극기'와 '저 태극기'로 갈라지는 세태까지 나타났다. 우리가 이 정도밖에 안 되는 국민인가 싶다. 98년 전 3·1운동 때 온 민족을 하나로 묶었던 태극기가 바로 삼일절 날 갈라지게 됐으니 조상들 뵐 낯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