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블록체인'을 도정에 활용했다.
경기도는 23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815개 주민공동체를 대상으로 '2017년 따복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 블록체인심사'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남경필 경기도지사, 강득구 연정부지사를 비롯해 이재준, 남경순, 박형덕, 김치백, 고오환, 오완석, 박근철 도의원과 공모사업 참여자 등 23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심사에는 전국 최초로 '블록체인(Blockchain)'이 심사에 도입됐다. 블록체인은 정보를 특정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네트워크에 분산시켜 참가자 모두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도는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공동체 대표 815명 뿐 아니라 구성원 7335명도 사업내용을 학습하고 직접 투표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심사는 오프라인 심사와 온라인 심사가 동시에 진행됐다. 오프라인 심사는 공동체 대표가 참여‧사업에 대해 서로 평가했으며, 온라인 심사는 오프라인에서 진행되는 다른 공동체의 발표를 구성원들이 온라인으로 시청하고 '좋아요'를 눌러 투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경기도는 원활한 진행을 위해 대표 12명, 전문 심사위원 2명, 진행요원 1명 등 15명을 한 그룹으로 총 68개 그룹을 구성해 심사를 진행했다. 그룹 내 대표들은 자신의 사업을 제외한 다른 11개 공동체에 점수를 줬으며, 최종 점수에는 대표 점수 70%, 전문 심사위원 점수 30%가 반영됐다. 또한 온라인 심사의 경우 각 공동체 당 참여자 수가 많을 경우 가산점이 부여됐다.
이날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스마트폰이 세상을 바꿔 놓았듯 블록체인 역시 몇 년 안에 세상을 바꿔 놓을 것이다"며 "블록체인이라는 새로운 4차 산업혁명으로 대의민주주의 한계를 직접민주주의 방식으로 보완해 나가자"고 밝혔다.
심사의 결과는 당일 발표됐다. ▲'해맑은 어린이 도서관', '행복마을 샘터' 등 공동체활동지원 분야 260개 사업 ▲'나들이 공동체', '푸른어린이 작은도서관' 등 공간조성지원 분야 70개 사업 ▲'별꽃 작은도서관', '독서와 행복을 나르는 사람들' 등 공간활동지원 분야 120개 사업이 선정됐다.
경기도는 선정된 사업에 총 31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방침이다. 도는 지난해 따복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을 통해 공동체활동지원 분야에서 109개 공동체, 공간조성지원 분야에서 49개 공동체, 공간활동지원 분야에서 104개 공동체 등 262개 공동체를 선정해 총 16억 5천만 원을 지원한 바 있다.
한편, 따복공동체는 '따뜻하고 복된 마을공동체'의 줄임말로 이웃 간의 소통을 통해 지역공동체를 복원, 활성화하는 사업이다. 이날 열린 '따복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은 사업 전 과정을 주민 중심으로 추진하는 주민주도형 사업으로, 사업심사과정에도 공모를 낸 공동체의 주민이 직접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