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단교할 수도…" 단단히 '뿔난'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경찰은 22일 김정남 암살 사건과 관련해 "말레이시아 주재 북한 대사관 2등 서기관 현광성(44)과 고려항공 직원 김욱일(37)도 이번 사건 용의자"라고 밝혔다. 경찰이 현지의 북한 외교관을 암살 사건 공범으로 지목하는 방식으로 이번 사건에 북한 정권이 개입했음을 시사하고 나선 것이다.
칼리드 아부 바카르 말레이시아 경찰청장은 이날 쿠알라룸푸르 시내 경찰청사에서 열린 두 번째 공식 기자회견에서 "용의자 중에 북한인이 2명 더 있다"며 현 서기관 등 2명의 이름과 사진·나이 등을 공개했다. 또 "첫 기자회견에서 밝힌 5명의 북한 국적 용의자 중 4명은 사건 직후 출국해 이미 평양에 도착한 것으로 확신하고 있으며, 리지우라는 이름의 또 1명은 국내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이로써 이번 사건과 관련해 신원이 확인된 북한 국적자는 이미 체포된 리정철을 포함해 모두 8명이 됐다.
대사관 2등 서기관(현광성)과 고려항공 직원(김욱일)은 사건 발생 직후부터 북한 대사관에 은신중이라고 현지 동방일보가 보도했다. 동방일보는 "경찰은 공항 CCTV에 포착된 두 용의자의 신원을 확인했을 때 이들이 사건 발생 이후 대사관 밖으로는 한 발짝도 나오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바카르 청장은 "북한 대사관이 이들을 조사할 수 있도록 협조하기를 바란다"며 "수사에 협력하지 않을 경우 체포 영장을 발부받을 것"이라고 했다.
바카르 청장은 체포된 베트남 국적자인 도안 티 흐엉(29)과 인도네시아 국적자인 시티 아이샤(25)가 조사 과정에서 '장난'인 줄 알고 범행에 참여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CCTV를 보면 여성 두 사람이 (범행 후) 손을 들고 이동한 뒤 화장실에서 손을 씻었다. 이미 독성이 있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말레이 중문 매체 남양상보는 이날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경찰이 부검보고서를 통해 암살단이 사용한 독극물의 정체를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어떤 독극물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바카르 청장은 김한솔이 이미 입국했다는 소문에 대해서는 "유족이 오지 않았고 연락도 없었다"고 했다. 누르 잘란 모하메드 말레이시아 내무부 차관은 "김한솔이 말레이시아에 오기를 원한다면 외무부 또는 다른 정부 당국과 접촉하면 된다"며 "이 나라에서 또 다른 죽음을 원하지 않는 만큼 (만약 온다면) 그를 보호할 것"이라고 했다. 말레이 성주일보는 "말레이 경찰 3명이 22일 김정남 가족의 DNA를 채취하기 위해 마카오로 파견됐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