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내년으로 예상됐던 한국의 '고령사회' 진입이 올해로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 속도가 예상보다 더 빨리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21일 행정자치부 등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어 우리나라가 '고령사회'에 본격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2000년 '고령화사회'에 들어선 지 17년 만이다. 노인 인구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 사회,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정의된다.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올 1월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703만1367명으로 전체 인구의 13.6%로 집계됐다. 최근 65세가 된 1949~1951년생들은 43만~45만명대를 유지하지만 사망 인구를 감안하면 매년 노인 인구가 20여만명씩 증가해왔다. 하지만 올해 65세가 되는 1952년생은 이들보다 훨씬 많은 57만명에 달해 노인 인구가 30만명 정도 늘어나면서 올해 말까지 노인 인구 비율이 14%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은 작년 미래 인구 추계에서 2018년부터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예상보다 빨리 진입하는 것이다.
9년 뒤인 2026년에는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된다. 한 해 70만~90만명이 태어난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들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노인 인구에 편입되기 때문이다. 농어촌은 올해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곳도 많다. 전남이 21%로 이미 초고령사회에 들어섰고, 전북(18.4%), 경북(18.3%), 강원(17.3%) 등도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시군구로 보면 전남 고흥이 37.5%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경북 의성(37%), 경북 군위(35.9%), 경남 합천(35.6%), 경남 남해(34.8%) 순이었다. UN인구통계(2015년 기준)에 따르면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넘은 국가는 일본·이탈리아·독일 등 7개국이다. 14~20% 국가는 스웨덴·프랑스 등 40개국이다. 한국은 노인 비율이 아직은 세계 53위이지만 급격한 고령화·저출산 현상으로 2060년이 되면 노인 비율이 일본을 앞질러 세계 1위가 될 것으로 UN은 전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세금 낼 젊은이는 줄고 복지 혜택을 받을 노인만 늘어나 국가 재정 운영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기초연금·기초생활보장 예산 등 복지 재정은 물론 건강보험, 국민연금 등 4대보험도 재정 고갈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