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 시각)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를 강하게 지지하지만 회원국들은 방위비(국방비)를 반드시 추가 부담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나토의 방위비 분담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한 것은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플로리다주 중부군사령부를 방문해 "우리(미국)는 나토를 강력히 지지한다"면서도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모든 나토 회원국이 동맹을 위해 완전하고 적절한 재정 기여를 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많은 (나토) 회원국이 그렇게(적절하게 재정적으로 기여하는 일을) 하지 않았고, (적절한 수준에) 가까이 가지도 못했다"며 "그들(나토 회원국)은 그걸(적절한 재정적 기여를) 해야만 한다"고 했다. 나토는 모든 회원국이 국내총생산(GDP)의 2%를 방위비로 책정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갖고 있다. 그러나 나토 28개 회원국 중 미국·영국·폴란드·에스토니아·그리스 등 5개국만 이 기준을 지키고 있다.

트럼프의 이날 발언은 나토 동맹 가치는 이전처럼 인정하겠지만 받을 돈(방위비)은 이전보다 분명하게 더 받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가진 통화에서 "나토 동맹의 근본적 중요성을 인정했고, 방위비를 공평하게 부담할 필요성도 공감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토 동맹 지지 차원에서 오는 5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는 나토 정상회담에서 나토 지지를 재약속하는 것과 동시에 방위비 분담금 증액에 대한 나토 회원국의 약속을 받아내려 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작년 기준 나토 예산 9183억달러 중 6641억달러(72%)를 미국이 부담하고 있다.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지난 2~3일 방한(訪韓) 당시 주한미군 분담금 문제를 직접 거론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볼 때 한·미 간 방위비 문제도 조만간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