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안희정 충남지사의 지지율이 상승하면서 대선 본선 못지않게 민주당 내부 경선에서 역전 상황이 벌어질지를 놓고 정치권 관심이 쏠리고 있다. 2월 말~3월 초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 이후 시작될 민주당 대선 경선은 100% 국민 경선으로 치러진다. 당원·비당원의 구분 없이 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에 참여하고 싶은 국민이면 누구나 선거인단으로 신청해 1인 1표를 행사할 수 있다.

정치권에서는 안 지사의 지지율이 급상승하는 반면 문재인 전 대표 지지율이 30% 초반에 머물러 있는 상황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까지 4~5% 지지율에 그쳤던 안 지사는 최근 15%를 넘나들고 있다. 특히 정권 교체 가능성이 커지면서 안 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 등은 "누가 민주당 후보가 돼도 정권 교체"라며 문 전 대표를 흔들고 있다.

특히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물러서면서 야권 지지층이 "이제 정권 교체는 누가 나서더라도 확실하게 될 것 같다"고 생각하는 분위기도 변수가 되고 있다. 안 지사 측도 "대통령 탄핵이 되고 나면 국민 사이에선 '이젠 나라의 안정도 생각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반대층의 '청소'를 주장하는 문 전 대표보다 '협력'을 중시하는 우리에게 기회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한다.

이런 분위기에서 김종인 의원을 비롯해 당내 비문(非文) 성향 인사들이 안 지사를 중심으로 결집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중립 지대에 있는 의원 상당수가 안 지사 진영에 가세할 경우 상당한 '조직'표가 더해질 뿐 아니라, 당원과 지지층에 '대세가 깨지나?'라는 신호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문 전 대표 측은 여전히 "경선 흥행이 나쁠 게 없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안 지사, 이재명 시장 등의 지지율이 올라가면 민주당 후보들의 지지율 총합이 커지는 것 아니냐"고 했다. 문 전 대표 캠프는 내부적으로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를 이뤄 '결선투표'도 실시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안 지사 측 정재호 의원은 본지 통화에서 "당내 1차 경선인 호남 지역 경선에서 현재 여론조사처럼 2배 이상 차이가 나지 않으면 대세론은 흔들린다"며 "마지막 4차 경선인 수도권 지역 선거인단이 전체 50%를 차지하기 때문에 역전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오는 12일 광주에서 예정된 민주당 전국 광역의원기초단체장협의회 주최 대선 후보 초청 토론회에 문 전 대표가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안 지사와 이 시장 캠프에서는 "문 전 대표가 일부러 토론을 회피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문 전 대표 측은 "전북 지역 기자간담회 등 사전에 잡힌 일정과 겹친 것일 뿐 다음 주중 캠프 사무실을 공개한 뒤 이후 토론회에 적극 임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