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의 관계에 대해서 전면 부인했다.

헌법재판소 1층 대심판정에서 16일 열린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최씨는 '차은택 전 창조경제추진단장을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추천하지 않았느냐"고 묻자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자체를 모른다"고 답했다.

최씨는 '차은택에게 김기춘 전 비서실장을 만나라고 한 적도 없느냐"는 질문에 "없다 김기춘 자체를 모른다"고 답하며 박 대통령에게도 두 사람이 만나면 좋겠다고 한 적이 없다며 단호하게 부정했다.

차은택의 증언에 대해서도 "차은택이 다른 얘기를 많이 하고 있는데 신빙성이 없다"며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 비서관에게 차씨의 이력서를 준 것을 일정 부분 인정하나 추천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이는 정 전 비서관이나 박 대통령의 인사권에 개입한 바 없다는 목적의 발언이었다.

최씨는 "대통령이 항상 본인이 판단하고 검증하는 것"이고 "누가 추천했다고 막 쓰는 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인사권 개입 의혹에 대해 부정했다.

또한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을 추천한 적이 있느냐'는 의혹에도 동일하게 '이력서를 정호성에게 보낸 적 있지만 직접 추천은 안 했다"고 말했다.

최씨는 국정농단 의혹에 대해서도 "대통령 연설문을 사전에 받아봤지만 감성적인 표현 등만 봤다"며 이에 대해서도 입을 닫았다.

이어 '박 대통령의 말씀이나 정책, 인사 자료 등을 받아 정호성에게 전달한 적 있느냐'는 물음에도 "있다. 하지만 인사자료 등은 받은 적도 없고 관여하고 싶지도 않았다"며 여전히 모르쇠로 일관했다.

최씨는 계속되는 질문들에 대해서도 여전히 부인했다. 동시에 검찰과 박영수 특검팀의 수사가 강압적이었다며 "특검도 그렇고 너무 강압적이다. 검사들이 제대로 수사하려는 의지가 있나. 사람이 죽을 지경이다"며 우는 소리를 했다.

국회 측에서 "검살 조사를 받은 이후 변호사 입회 아래에 피의자 신문조서를 읽어보고 서명 날인했느냐"고 묻자 검찰 조사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며 "검찰 조사가 독일에서 오자마자 정신없이 이뤄져 제대로 된 것이라고 인정할 수 없다"며 주장했다.

또한 "(피의자 신문조서를)확실히 잘 못 읽어봤다. 뭘 물어보려고 하느냐"며 오히려 국회 측 대리인에게 화내듯 되묻기도 했다.

그는 "(수사) 압박을 받아서 특검에 못 나가고 있다. 이런 거 저한테 보여줘도 소용없을 것 같다. 형사재판 중인데 그걸로 물어보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말해 피해나가려고 했지만 국회 측에서 증인 자필 여부에 대해 묻자 결국 '네'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