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10일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상황 악화를 가져올 수 있는 언행은 자제하는 것이 한·일 관계의 미래 지향적 발전을 위해서 바람직하다"고 했다.

황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한·일 양국 정부뿐만 아니라 모든 이해 당사자들이 합의의 취지와 정신을 존중하면서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은) 귀찮은 나라"라는 발언을 한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자민당 간사장 등 일본 정치인들을 겨냥한 것이지만 이와 함께 위안부 합의 번복 등을 주장하는 우리 정치권과 시민단체도 염두에 둔 말로 해석됐다.

10일 오전 일본 총리 관저에서 열린 각의(국무회의)에 참석한 아베 신조(사진 왼쪽) 일본 총리와 아소다로(오른쪽) 부총리 겸 재무상의 모습. 아소 부총리는 이날 각의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한·일 합의가 지켜지지 않는다면 (한·일 통화 스와프를 통해) 빌려준 돈도 돌려받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는 누구?]

황 권한대행은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 각계에서 한·일 양국 관계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면서 2015년 위안부 합의의 내용을 설명했다. 그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그리고 마음의 상처 치유를 도모한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했다.

그러나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이날 각의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일 통화 스와프 협상은) 돈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신뢰 관계로 이뤄지는 것"이라며 "신뢰 관계가 없어지면서 (협상 재개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고 일본 지지통신이 전했다. 그는 또 "(한·일 합의라는)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빌려준 돈도 돌려받지 못할 것"이라며 "스와프 따위도 지켜지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가 된다"고 했다. 한·일 통화 스와프 협정 체결시 한국에 돈을 빌려줬다가 떼일 수도 있다는 취지의 발언이었다.